[기업기상도] 따뜻한 햇살 받은 기업 vs 진흙탕에 넘어진 기업

2019.12.01 방영 조회수 1
정보 더보기
[기업기상도] 따뜻한 햇살 받은 기업 vs 진흙탕에 넘어진 기업 [명품리포트 맥] 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 기업들에 호재와 악재가 뚜렷이 부각된 한 주 였습니다. 또, 종합부동산세 부과 앞두고 집값이 경제의 가장 큰 관심사였던 한 주였죠. 그럼 한 주 맑고 흐린 기업 찾아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 먼저 SK바이오팜, SK케미칼입니다. 나란히 시장성 큰 신약으로 미국 시판 허가 받아 바이오주 부활의 총아로 떠올랐습니다. SK바이오팜은 뇌전증 치료제, SK케미칼은 피부에 붙이는 치매치료 패치입니다. 뇌전증약 시장은 3년내 7조원 이상이 될 전망이고 치매약 역시 고령화로 가장 유망한 시장이죠. SK바이오팜은 상장할 경우 몸값 5조원이란 분석 나왔고 SK케미칼 주가는 쑥쑥 치솟았습니다. 신약은 최소 10년 이상 기간에 수천개 후보 중 1, 2개만 성공하는 사업입니다. 긴 시간 두 약도 실패 겪었는데요. 이제 '대박' 거둘 일만 남았나요? 다음은 현대자동차입니다. 숙원사업 삼성동 105층 빌딩 건축허가 나왔습니다. 마지막 쟁점, 군과의 협의가 끝나 건축허가 떨어졌습니다. 내년 상반기 착공해 2026년 완공합니다. 현대차 사무실 외에 호텔, 전시장, 공연장, 전망대, 판매시설도 들어섭니다. 이런 시설로 건물 자체로도 돈 벌 계획이랍니다. 5년 전 현대차가 경쟁사 압도하는 10조원대에 낙찰받자 말 많았죠. 차 개발할 돈 땅에 다 쓴다고요. 정의선 부회장님, 이제 돈 잘 쓴 건지 아닌건지 보여줄 차례입니다. 이제 흐린 기업입니다. 우선 현대와 GS건설, 대림산업입니다. 단군 이래 최대 재개발사업 서울 한남 3구역 수주전 벌이다 입찰 무효되고 수사 의뢰됐습니다. 7조원대 사업에 혈안이 돼 법이 눈에 안 들어왔나 봅니다. 조합원은 3.3㎡당 3,500만원 이하, 일반분양은 7,200만원 이상, 상가 분양가는 주변 110% 보장, 사업비 전액 무이자 대여, 현란한 조건 내걸었습니다. 5년 이하 징역이란 건 알았을

명품리포트 맥 20191201 3

  • [뉴스프리즘] 07:03
    [뉴스프리즘] "제발 악플 좀 그만 달라"…악플과의 전쟁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기업기상도] 따뜻한 햇살 받은 기업 vs 진흙탕에 넘어진 기업 05:29
    [기업기상도] 따뜻한 햇살 받은 기업 vs 진흙탕에 넘어진 기업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여의도풍향계] 패스트트랙 '치킨게임'…민주·한국 평행선의 끝은 05:44
    [여의도풍향계] 패스트트랙 '치킨게임'…민주·한국 평행선의 끝은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 [날씨] 고온 건조 '서풍' 다시 온다...'재발화' 우려 01:42
    [날씨] 고온 건조 '서풍' 다시 온다...'재발화' 우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 지원 늘지만 터전 잃은 슬픔은 여전...이 시각 안동 02:46
    지원 늘지만 터전 잃은 슬픔은 여전...이 시각 안동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3 '시위 강경진압' 튀르키예, 외신기자 잇달아 체포 00:37
    '시위 강경진압' 튀르키예, 외신기자 잇달아 체포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4 가게 닫고 연차 쓰고…산불 피해지역 자원봉사 줄이어 01:58
    가게 닫고 연차 쓰고…산불 피해지역 자원봉사 줄이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5 01:42
    "불길 여전히 생생"…산불 트라우마 시달리는 이재민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6 '보기만 해도 끔찍한데'…치우지 못하는 산불 피해 잔해 01:44
    '보기만 해도 끔찍한데'…치우지 못하는 산불 피해 잔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7 [티조 Clip] 윤상현 13:54
    [티조 Clip] 윤상현 "헌재, 탄핵심판 선고기일 당장이라도 지정할 것"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8 [포커스] 성묘객 실화가 서울 면적 태웠다…'역대 최악' 산불 149시간의 기록 02:51
    [포커스] 성묘객 실화가 서울 면적 태웠다…'역대 최악' 산불 149시간의 기록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9 마지막 남은 지리산 200m까지 진화…산림청장 02:12
    마지막 남은 지리산 200m까지 진화…산림청장 "모두 완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0 [현장영상+] 산청·하동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 20:52
    [현장영상+] 산청·하동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잔불 진화 체계로 변경"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1 [프리즘] 연금 대수술한 일본도 한계… 03:51
    [프리즘] 연금 대수술한 일본도 한계…"지속가능성도 모색해야"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2 [프리즘] 02:17
    [프리즘] "왜 나만 더 내야 하나"…연금개혁에 청년세대 분노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3 전기 끊겨 은어 20만 마리 폐사...통신 복구 시급 04:09
    전기 끊겨 은어 20만 마리 폐사...통신 복구 시급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4 온난화에 3년간 녹은 빙하 역대 최다… 02:09
    온난화에 3년간 녹은 빙하 역대 최다…"20억 인류 생존 위협"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5 [특보] '尹 4월 선고' 전망에 여야 강경론…추경 속도 내나 28:12
    [특보] '尹 4월 선고' 전망에 여야 강경론…추경 속도 내나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6 [날씨] 휴일 꽃샘추위...건조·강풍 추가 화재 사고 유의 01:54
    [날씨] 휴일 꽃샘추위...건조·강풍 추가 화재 사고 유의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7 중, 미얀마 지진에 200억 긴급 원조…구조대 파견도 00:30
    중, 미얀마 지진에 200억 긴급 원조…구조대 파견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8 미얀마 강진 사상자 5천여명…군부는 참사 속에도 반군 폭격 02:34
    미얀마 강진 사상자 5천여명…군부는 참사 속에도 반군 폭격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9 26명 사망한 경북 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 00:32
    26명 사망한 경북 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0 [날씨] 건조특보 한 차례 더 확대…낮에도 평년 밑돌아 01:44
    [날씨] 건조특보 한 차례 더 확대…낮에도 평년 밑돌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1 [이시각헤드라인] 3월30일 일요와이드 01:17
    [이시각헤드라인] 3월30일 일요와이드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2 여 02:59
    여 "정당해산 심판 받아야"…야 "중대 결심할 것"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3 미얀마 강진 1,644명 숨져... 02:55
    미얀마 강진 1,644명 숨져..."1만 명 이상 사망확률 71%"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4 청송 재발화 일단 '진화'…당국 잔불정리 총력 01:36
    청송 재발화 일단 '진화'…당국 잔불정리 총력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5 꽃샘추위 이어져…전국 곳곳 건조주의보 00:58
    꽃샘추위 이어져…전국 곳곳 건조주의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6 러, 휴전협상 중 우크라에 대규모 드론 공격 00:39
    러, 휴전협상 중 우크라에 대규모 드론 공격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7 박찬대, '마은혁 임명' 촉구… 00:36
    박찬대, '마은혁 임명' 촉구…"미임명 시 중대 결심"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8 산청 산불 마지막 1% 진화 중… 02:09
    산청 산불 마지막 1% 진화 중…"오늘 주불 잡을 것"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9 숙의 길어지는 헌재...한층 치열해진 여야 여론전 27:40
    숙의 길어지는 헌재...한층 치열해진 여야 여론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30 03:04
    "대통령 복귀 음모" vs "민주, 스스로 해체 고려"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공유하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