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요즘 60대는 노인 축에도 끼지 못한다는 말이 나오죠. 65세 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 전체 인구의 20% 가량을 차지하는데도 한국의 정년은 세계 주요국 중 최저 수준인 60세에 머물러 있습니다. 정년 연장, 왜 시급하고 문제점은 없는지 따져보겠습니다. 김자민 기자, 한국의 정년이 주요국에 비해 짧다고 하던데 맞습니까?
[기자]
네, 주요 선진국들은 정년을 폐지하거나 늦추는 추세입니다. 한국보다 정년이 짧았던 중국마저 지난달 공산당 회의에서 법정 정년을 늘리는 방안을 채택했습니다.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때문입니다. 스페인과 독일 등 유럽 국가들도 잇따라 정년 연장을 발표했습니다. 아예 폐지한 나라들도 있는데요. 대만은 지난달 만 65세 정년을 폐지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통과시켰고 미국과 영국은 차별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 이미 오래 전 정년을 폐지했습니다.
[앵커]
정년 연장이 시급한 이유 중 하나가 은퇴 후 소득 공백 기간이 점차 늘어나기 때문이죠?
[기자]
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노인 빈곤율 1위 입니다. 은퇴 후 소득이 선진국 중 가장 적다는 겁니다. 올해 정년을 맞은 1964년생은 63세가 돼야 연금을 수령합니다. 직장인 평균 은퇴가 55세임을 감안하면 다수 은퇴자가 연금이 개시되기 전까지 근 10년 간 아무런 소득이 없는 겁니다.
[앵커]
정년을 늦추면 기업 부담이 클텐데 해결책이 있습니까?
[기자]
일본에선 재고용 방식이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기업의 76.4%가 고령자를 재고용하고, 정년 이전 대비 70%의 임금을 줍니다. 회사로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인건비로 숙련 근로자를 활용할 수 있고, 근로자는 소득 공백을 피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대차가 정년을 마친 기술직 근로자를 2년간 재고용하는 제도를 자체 운영중입니다.
[앵커]
정년 연장이 청년 일자리 확보 문제와 상충할 수 있다, 이런 우려의 시각도 있잖아요?
[기자]
지난달 중국 정부가 정년 연장 추진을 발표하자, 가뜩이나 극심한 취업난을 겪는 청년들이 반발했는데요. 정년 연장에 앞서 청년과 고령층의 일자리 균형을 유지할 효과적인 방안과 사회적 합의가 우선돼야 합니다.
김성희 / 고려대 노동전문대학원 교수
"업무의 측면, 직업의 측면에서 봤을 때는 정년 연장과 청년 문제는 따로따로 해법을 잘 구사하는 것의 문제이지 상호 충돌의 문제로 고려해야 될 사안은 아니다라고 볼 수 있죠."
[앵커]
정년 연장 문제는 몇살부터를 노인으로 볼지, 노인 연령 기준을 먼저 정해야지 해결할 수 있는 거 아닙니까?
[기자]
네, 노인 기준은 연금과 정년, 복지제도 등 여러 사회 정책과 연결돼 있습니다. 1981년 제정된 노인복지법에 따라 노인 연령은 65세로 굳어졌는데요. 보건복지부의 노인실태조사 결과 노인 스스로 생각하는 노인 연령은 평균 70.5세였습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지난해 3월부터 연령 기준을 재검토 중입니다.
[앵커]
요즘 젊은 세대들도 취업과 동시에 노후 대책부터 세운다고 하던데, 정부와 국회가 빠른 고령화에 대응해야겠습니다. 김자민 기자 잘 들었습니다.
김자민 기자(ben@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