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외교 공백' 최소화 숙제…'트럼프 대응' 최우선
[앵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로 국정의 불투명성은 다소 걷혔지만 외교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않습니다.
당장 다음달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의 관계 구축이 최우선이란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국회의 탄핵 소추안 가결로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되면서 외교 안보 분야에도 적지않은 타격이 우려됩니다.
한미동맹 관리를 비롯해 북한의 러시아 파병 등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무엇보다, 다음달 출범하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와 관련해 선제적인 대응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여러 면에서 트럼프 2기 한미 동맹의 시작에 있어서 아마도 최악의 시나리오일 겁니다. 물론, 소통을 계속하려고 하겠지만, 트럼프는 트럼프죠. 현실은 지도자 간 개인적 관계를 중요시 한다는 겁니다."
다만, 이번 탄핵안 가결로 오히려 정국 운영의 불확실성을 해소됐다는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은 한덕수 총리가 주미 대사를 역임하는 등 외교와 경제·통상 분야에 경험이 풍부한 것도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임시직'으로 국정 안정과 관리에 중점을 두는 권한대행이 주요 현안 협의나 처리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최근 프랑스 파리를 방문하고, 시진핑 중국 주석을 취임식에 초청하는 등 이미 본격적인 외교 행보에 시동을 건 상황.
외교가에서는 우리 정부가 당분간 주미 한국대사관을 중심으로 트럼프 당선인 측에 한국의 정치 상황을 설명하고 이해를 적극 구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내다 보고 있습니다.
앞서 2016년 12월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 후,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열흘 만에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 통화한 바 있습니다.
"결국 핵심은 바이든 대통령과 윤 대통령, 이 둘의 정부가 아닙니다. (미국이) 대한민국과 맺고 있는 더 광범위한 전략적 관계와 광범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입니다."
내년 수교 60주년을 맞는 한일 정상 간 '셔틀 외교'와 11월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준비에 미칠 여파를 최소화해야 하는 숙제도 안고 있습니다.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lcd@yna.co.kr)
#탄핵 #외교 #트럼프 #한덕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