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오늘 아침 신문' 시작하겠습니다.
◀ 앵커 ▶
최근 독감 유행에 환자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비용 부담으로 인해서 독감 치료에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나타난다는 기사 먼저 보겠습니다.
◀ 앵커 ▶
네, 서울신문입니다.
◀ 앵커 ▶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외래환자 1천 명당 독감 의심 환자는 지난해 12월 첫 주 7.3명에서 4주 만에 99.8명으로 13.7배 급증했는데요.
감염 속도를 늦추기 위해선 빠른 진단과 약제 투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독감 검사비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인당 2만 원에서 4만 원을 부담해야 하고요.
저렴한 경구용 치료제인 '타미플루'는 5일간 복용해야 하는 반면, 효과가 곧바로 나타나는 주사제인 '페라미플루'는 비급여여서, 가격이 7만 원에서 15만 원에 이릅니다.
이렇게 검사비에 페라미플루를 맞고 진찰료와 약제비를 다 더하면 인당 15만 원쯤 들어서, 4인 가족 기준 60만 원을 부담해야 하는데요.
검사비만이라도 건강보험을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보건 당국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매일경제입니다.
피고인이 재판기일에 장기간 불출석하거나 도주해서 선고에서 실형이 확정됐음에도 수감되지 않은 사람들을 '자유형 미집행자'라고 하는데요.
대검찰청에 따르면 자유형 미집행자가 지난해 약 6,200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피고인을 법정구속할 수 있는 기준이 엄격해져서 불구속 재판이 늘어난 게 원인으로 꼽히는데요.
자유형 미집행자는 검찰 수사관들이 검거해야 하지만, 이미 도주한 죄인을 다시 잡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 보니 이들 중 지난해 국외로 도피한 인원은 1천 명이 넘습니다.
또 현행법상 검찰은 사실조회나 압수수색 영장 등 별도의 강제 수단이 없어서 인력 충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 앵커 ▶
이어서 같은 신문 기사 하나 더 보겠습니다.
지난해 국가와 지자체의 경로당 지원 예산이 총 6,277억 원에 달하고, 경로당별로 월 회비나 후원금까지 걷고 있는데요.
하지만 경로당 회장과 총무가 사용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임원 등이 운영비를 개인 통장으로 빼돌리거나, 상품권을 구입해 친척을 나눠주는 등 사적 이용이 적발돼 소송전으로 번진 사례도 있는데요.
또 지자체별로 회원 수와 경로당 규모에 따라 지원금을 차등 지급하지만, 실제 활동 인원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점도 문제로 꼽힙니다.
공적 재원이 투입되는 경로당 예산의 철저한 관리 감독으로, 국가 예산의 낭비를 막아야 한다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 앵커 ▶
이번에는 중앙일보 볼까요.
설 연휴를 앞두고 고물가와 내수 침체 등으로 얼어붙은 지역 경기를 살리기 위해서 지자체들이 발 벗고 나섰습니다.
강원도는 올해부터 '골목상권 살리기 캠페인 릴레이 챌린지'를 시작해서 단체 회식을 활성화하고 있고요.
부산시와 전라북도는 소상공인 업체들을 대상으로 '착한 선결제 캠페인'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밖에 대전시에서는 구내식당 휴무일을 월 1회에서 2회로 확대했고, 경북 포항시는 부서별로 전통시장에서 명절 장보기 행사를 진행하는데요.
경기 안양시와 부산광역시는 지역화폐를 추가 발행할 계획이라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지역 신문 기사 보겠습니다.
경북일보인데요, 경북도가 대구와 경북의 2시간 생활권이 가능한 대순환 철도망 구축에 나섰다는 소식입니다.
대순환 철도는 대구를 시작으로 구미·김천·문경·영주·봉화·울진·포항·영천을 거쳐 대구로 돌아오는 총연장 485.5km의 순환 철도망이고요.
함께 추진하고 있는 대구경북신공항 순환 철도는 서대구를 기점으로 신공항·의성·군위·영천 등을 거치는데, 어디서든 신공항을 40분 이내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경북도는 철도망 구축이 관광객 유치와 함께 지역경제를 살릴 해결책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지금까지 '오늘 아침 신문'이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