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새해가 밝았지만 지난해 12월 있던 내란 사태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여전히 고통 속에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여객기 참사를 뉴스서 보자마자 신원 감식에 힘을 보태려 달려간 40년 경력 법치의학자는 여객기 안에 자랑스러운 제자도 타고 있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습니다.
먼저 신진 기자입니다.
[기자]
달려온 가족들은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했습니다.
[어떡해, 어떡해.]
이름이 불린 순간 기뻤고 곧 절망했습니다.
[살았다고 확인하는 거야? 살았다고?]
179명 이름이 벽에 붙었습니다.
[난 몰라, 안돼 안돼.]
검안실 불은 24시간 안 꺼졌습니다.
[윤창륙/전 조선대 치의학과 교수 : 빨리 희생자들을 유족에게 돌려드려야 된다는 압박감. 다른 생각 할 겨를이 없어요.]
40년 경력 법치의학자는 뉴스를 보자마자 현장에 자원했습니다.
[윤창륙/전 조선대 치의학과 교수 : 아찔했고요. 안타깝지만 생존 가능성이 희박하겠구나… 부르기 전에 제가 먼저 가야겠다는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남 일만은 아니었습니다.
[윤창륙/전 조선대 치의학과 교수 : 제 치과대학 제자도 한 명 있었습니다. 머리로 치료하지 않고 가슴으로 치료하던…]
인력은 모자라고 작업은 힘들었습니다.
[윤창륙/전 조선대 치의학과 교수 : 40분 가까이가 지문을 찾을 수 없었고요. 또 이 조각난 시신들을 맞춰야 하지 않겠습니까.]
매일 밤을 샜고 날이 밝으면 자원봉사자들이 해주는 밥을 먹었습니다.
[윤창륙/전 조선대 치의학과 교수 : 늘 식사를 밖에 나가서 사 먹고 그러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낭비가 됐거든요. 도움을 주셨기 때문에 이게 빨리 끝날 수 있었고요.]
참사 9일 만에 179구의 시신을 인계했습니다.
유족들은 고개 숙였습니다.
[박한신/유가족 대표 : 국회의원분들은 물러나 주시고 고생하신 정부 관계자분들은 앞으로 조금만 나와주십시오. 정말 감사합니다. 그리고 고맙습니다.]
수없이 다닌 참사 현장에서 처음 본 광경이었습니다.
[윤창륙/전 조선대 치의학과 교수 : 이 성실하고 순진하고 법 없이 살 분들이 이렇게 돌아가셔야 하는지, 그 답을 아직 못 내리겠어요.]
살아남은 사람들은 다시 살아가야 합니다.
[윤창륙/전 조선대 치의학과 교수 : 망자들에 대해서 우리 산 자들은 책임이 있는 거예요.]
[VJ 이지환 / 영상편집 김영석]
신진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