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1학년 7,500명…정부 "전담팀 꾸려 대응"
[앵커]
정부가 내년도 의대정원을 '원점'에서 협의하겠다며 의대생들의 학교 복귀를 촉구하고 있는데요.
올해 신입생까지 더해 7천명 넘는 학생들이 수업을 들어야 하는 상황에 대비해 다음달까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수업을 거부한 의대 1학년 학생들은 약 3천명입니다.
올해 교실로 돌아 온다면 신입생 4,500여명까지 더해 7,500명이 한꺼번에 수업을 들어야할 수도 있습니다.
교육부는 수업 준비에 무리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예과 1학년 수업은 주로 교양 과목이고 올해 신입생들이 실습 위주의 본과 수업을 듣는 내후년까지는 대응할 시간이 충분하다는 겁니다.
교육부 내에 신설한 의대국에 '2인1조' 전담팀을 꾸리고, 팀별로 전국 39개 의대를 맞춤 지원한다는 구상도 밝혔습니다.
"2030년까지 약 5조 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올해는) 교원 증원과 시설·기자재 확충, 의대 교육혁신 지원 등 의학교육 여건 개선에 총 6,062억 원의 예산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늦어도 수강신청이 시작되는 다음달 중순 전에 대책을 내놓겠다는 계획입니다.
다만 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느냐가 문제입니다.
의료계는 최대 7,500명에 달하는 학생들이 한꺼번에 본과로 올라가게 되면 실습 등의 수업은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
"현상태로는 의대교육이 도저히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정부 스스로가 인정하고…정상화를 위한 뚜렷한 계획과 명확한 방침을 내놔야만…"
의료계에선 내년 신입생을 뽑지 말아야한다는 주장도 제기된 가운데, '원점 협의'를 내건 정부와 협의점을 찾을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yigiza@yna.co.kr)
#교육부 #의대 #의대정원 #의정갈등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