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윤 대통령은 구속 이후 첫 공수처 소환 조사에도 응하지 않았습니다. 공수처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조해언 기자, 윤 대통령이 오늘(19일)도 공수처에 출석하지 않았는데, 이유를 뭐라고 했습니까?
[기자]
공수처는 윤 대통령에게 오늘 오후 2시에 조사받으러 나오라고 통보했지만, 윤 대통령 측은 "공수처에서는 더 말할 것이 없다"면서 불응했습니다.
구속영장이 발부된 뒤 첫 조사에도 응하지 않은 겁니다.
공수처는 내일 오전 10시에 다시 출석하라고 통보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어제 영장심사에서 비상계엄은 대통령의 적법한 권한을 행사한 것이라는 취지로 직접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앞서 공수처에서도 계엄은 "법원이나 수사기관이 판단할 사항이 아니"라고 말한 뒤 진술을 거부해 온 만큼, 내일도 조사에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앵커]
계속 출석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기자]
구속영장 발부에 의해 적법하게 구금된 피의자가 계속해서 조사실에 출석하는 걸 거부하면 영장의 효력에 의해 수사기관이 피의자를 조사실로 데려올 수 있다는 대법원 판례가 있습니다.
윤 대통령도 계속 조사를 거부한다면, 강제 인치도 가능한 건데요.
다만 공수처 관계자는 강제 인치 가능성에 대해, 판례는 있지만 명확한 법 규정은 없어 검토해 봐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윤 대통령 측에선 법원의 구속영장 발부에도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데, 공수처에서도 입장을 밝혔죠?
[기자]
네 앞선 리포트에서 보셨듯 윤 대통령 측은 이번 구속영장에도 반발하며 법원의 판단을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공수처는 "영장 발부를 납득할 수 없다면 사법시스템이 정하는 구제 절차를 따르면 된다"며 "시스템 내에서 해결하려는 노력 없이, 법치를 부정하는 취지의 입장문을 발표한 것에 대해 심히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황현우 / 영상편집 김지훈]
조해언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