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찰이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방해한 이광우 경호처 경호본부장을 석방했습니다. 어제 석방된 김성훈 경호차장과 함께 다시 수뇌부로써 경호처 업무에 복귀하게 되는데 명령을 거부하고, 체포를 도왔던 경호처 직원들에게 보복성 조치를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이은진 기자입니다.
[기자]
경찰이 이광우 대통령 경호처 경호본부장을 석방했습니다.
출석요구에 3차례 불응하다 체포영장까지 발부됐지만 다시 자유의 몸이 된 겁니다.
이 본부장은 끝까지 정당한 임무를 수행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이광우/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 (지난 18일) : 오늘 수사기관의 조사에 성실히 임할 것이며 경호처는 경호구역 내에서 정당한 임무를 수행했을 뿐입니다.]
경찰은 석방 이유에 대해 "앞서 김성훈 경호차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검찰에서 반려된 것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경찰이 김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이 "재범 우려가 없다"며 반려한 만큼, 일단 이 본부장도 풀어준 뒤 다시 살펴보겠다는 겁니다.
이 본부장과 김 차장은 경호처 안에서 체포영장 집행 방해를 주도한 대표적 '강경파'로 꼽힙니다.
이들이 잇달아 업무에 복귀하게 되면서, 윤 대통령 체포에 협조했던 경호관들에게 각종 불이익이 돌아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앞서 김성훈 경호차장은 체포 전부터 지휘권이 자신에 있단 점을 강조했습니다.
[김성훈/경호처 차장 (지난 17일) : {현재 경호처 직무에서 배제된 상태입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결국 김 차장에 이어 이 본부장까지 경호처로 복귀하면서 이들이 다시 지휘권과 인사권을 움켜쥘 가능성이 큽니다.
앞서 이 본부장은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막지 않았다는 이유로 부장급 간부에 대해 직무배제 명령을 내린 바 있습니다.
또 다른 직원 역시 명령 불응을 이유로 인사조치가 예고된 상태입니다.
경호처 내부에선 지휘부가 체포영장을 발부받고도 권한을 계속 행사하고 있다는 반발과 함께 혼란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영상편집 김지우]
이은진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