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정선거 음모론을 이제 정치권에서도 공공연하게 말하고 있는데 관련해서 정치부 유한울 기자와 이야기 더 나눠보겠습니다.
유 기자, 이제 정치권에서도 공공연하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기자]
2020년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이 21대 총선에서 크게 지자 황교안 당시 대표와 민경욱 전 의원 등이 이른바 '4·15 부정선거'를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낙선자들 위주의 주장으로 극우 세력의 전유물 정도로 여겨졌는데요.
윤 대통령이 5년 만에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으로 들면서 부정선거 의혹에 솔깃하는 국민이 많아졌습니다.
실제로 선관위가 작년 총선 때 22년 만에 수개표를 부활시켰는데도 한 유명 한국사 강사는 유튜브에서 공개적으로 "선관위가 문제가 있다" "수개표를 해야 한다", 틀린 주장을 하기도 했습니다.
여기에 이제는 집권 여당에서도 "이상한 소리로만 치부할 것이 아니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오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앵커]
뭘 더 검증해 봐야 한다는지 잘 모르겠는데, 이미 부정선거 음모론은 사실이 아니라고 결론이 난 것 아닙니까?
[기자]
2020년 당시 '부정선거론'이 과격 시위로도 이어지자 선관위에서는 시연회를 열고 투·개표 전 과정을 공개했습니다.
문제, 발견되지 않았고요.
21대 총선과 20대 대선 관련해 부정선거 소송이 제기됐지만 모든 청구가 기각되고 대법원에서 확정 판결이 났습니다.
당시 판결문을 보면 이른바 '일장기 투표지'가 다수 발견됐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현미경'으로까지 관찰한 결과 위조라고 볼 수 없다고 돼 있습니다.
이때 판결을 내린 대법관 중 한 명이 천대엽 법원행정처장인데요.
이달 초 국회에서 '부정선거론'에 대해 "우려가 많다"고 말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천대엽/법원행정처장 (지난 7일 /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 : 사법 절차 외곽에서, 울타리 밖에서 사법 제도를 부정하는 움직임이 여전히 있는 것 같아서 그것이 우리 법치주의의 근간을 많이 침해하는 그런 요소라는 걱정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앵커]
20대 대선 때 분명히 국민의힘도 '부정선거론'을 전면 부정하지 않았습니까?
[기자]
네, 국민의힘이 20대 대선 때 만든 카드 뉴스를 보면 부정선거 관련 의혹들 일일이 사실이 아니라고 '팩트체크'했다면서 사전투표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당시 대선 후보 사진과 함께 "저도 첫날 사전투표하겠습니다", 이러한 문구도 넣어놓았습니다.
그런데 이제 와서 윤 대통령은 부정선거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고 집권 여당도 여기에 장단을 맞추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앵커]
당에서 이렇게 공공연하게 부정선거를 꺼내 드는 건 심각한 문제 아닙니까?
[기자]
네, 이미 사실이 아니라고 밝혀진 음모론을 중앙 정치권이 오히려 진영 논리로 이용하는 모습입니다.
오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당의 공식 입장은 부정선거 불인정"이라면서도 "의심할 수 있는 정황이 없는 것은 아니"라고 했습니다.
집권 여당에서 나온 말로는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더구나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이 선관위를 의심하고, 선관위가 다시 대통령의 주장에 반박해야 하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 관련 기사
"의심할 정황 있다"…여당 내부서도 '부정선거 음모론' 고개
→ 기사 바로가기 :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32762
유한울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