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 탄핵심판에선 윤석열 대통령 측이 '부정선거 정황' 이라는 여러 사례들을 거론했습니다. 계엄이 정당하다는 주장의 일환이었는데, 국회 측은 재판부에 의혹 제기를 제한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러자 윤 대통령은 직접 나서 "팩트 확인 차원" 이라고 반박했다는데, 양측간 공방은 주원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윤석열 대통령 측은 지난 2020년 21대 총선 당시 인천 연수구의 한 투표소에서 '관리 관인'이 뭉개진 투표지 1000장이 넘게 나왔다고 했습니다.
이중 "294표는 한글자도 식별이 안 돼 결국 무효표 처리됐다"고 했습니다.
또 "재검표가 벌어진 6곳에서 신권다발처럼 빳빳한 투표지 묶음이 수없이 나타났다"고 했습니다.
'복원기능이 있는 종이'라는 선관위 해명에 대해 그런 종이는 없다고도 했습니다.
도태우 / 윤석열 대통령 측 대리인단
"투표용지를 감정한 전문가는 그런 종이는 세상에 없습니다 라고 증언한 바 있습니다."
국회 측은 부정선거 주장은 "민주주의를 해칠 수 있는 무책임한 의혹제기"라며 "관련 증거신청은 적절하게 제한해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습니다.
김진한 / 국회 대리인단
"더 이상 선거부정의 의혹 제기 그리고 그와 관련된 증거신청은 적절하게 제한해 주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그러자 윤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부정선거를 색출하는 것이 아니라 선관위 시스템을 점검하려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선거가 전부 부정이어서 믿을 수 없다 그런 음모론 제기한 게 아니라 팩트를 확인하자는 차원이었다는 걸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윤 대통령측은 '부정 선거' 관련 성명 불상의 투표관리원 등을 증인으로 신청했습니다.
TV조선 주원진입니다.
주원진 기자(snowlike@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