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공수처가 오늘(22일) 윤 대통령에 대한 세 번째 강제구인에 나섰지만, 또 다시 실패했습니다. 공수처는 어제 윤 대통령이 탄핵 심판 변론 직후 병원으로 갈 거라는 사실도 모른 채 구치소에서 기다리다 허탕을 치기도 했는데, 이 때문에 시간만 허비하고 있단 지적이 나옵니다.
박현주 기자입니다.
[기자]
공수처 수사팀이 어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강제구인을 실패하고 돌아가는 모습입니다.
탄핵 심판을 마친 뒤 병원에 간 윤 대통령이 밤 9시를 넘어 구치소에 도착하면서 강제구인이 불발됐습니다.
인권 보호 규정에 따라 밤 9시가 넘으면 피의자 동의를 받아야 조사가 가능한데 윤 대통령이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의 병원 방문을 사전에 알지 못했습니다.
[오동운/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 {어제 윤 대통령 병원 방문은 언제 인지하셨을까요?} 공수처가 미리 인지한 건 아닌데, 병원까지 찾아가는 건 여러 가지 인권 차원에서 맞지 않다고 생각해서…]
공수처는 지난 20일 첫 강제구인을 시도했는데 윤 대통령의 변호인 접견이 밤 9시까지 진행되면서 무산됐습니다.
윤 대통령의 진술 거부가 예상되는 만큼 강제구인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공수처는 "노력하겠다"는 입장만 되풀이했습니다.
[오동운/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 공수처는 법질서 테두리 내에서 최대한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공수처는 오늘 세 번째 강제구인에 나섰지만 결국 실패했습니다.
구치소 내 조사실을 마련해 현장 조사까지 준비했는데 윤 대통령이 응하지 않았습니다.
구속 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공수처가 대면조사를 고집할 경우 시간만 낭비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영상취재 홍승재 김대호 / 영상편집 지윤정]
박현주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