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 다시 출석합니다. 오늘(23일) 열리는 탄핵 심판 4차 변론기일에 직접 나가겠다는 뜻을 밝힌 건데요. 이 자리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도 증인으로 참석할 예정입니다. 누가 계엄 포고령을 작성했는지 두 사람 사이에 말이 엇갈리고 있어서 신문 과정에서 진실 공방이 벌어질지 주목됩니다.
이재승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오늘(23일) 열리는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4차 변론에도 직접 출석합니다.
가장 큰 관심은 오늘 변론에 증인으로 나오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대질입니다.
오늘 두 사람은 비상계엄 선포 과정과 배경 등을 직접 설명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계엄사령부 포고령 1호의 작성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가 다뤄질 전망입니다.
당시 정치 활동을 일체 금지한 계엄 포고령 1호와 관련해 위헌 논란이 일자 윤 대통령 측은 "김 전 장관이 잘못 베낀 것"이라 주장했습니다.
반면 김 전 장관 측은 "김 장관이 초안을 썼지만, 당연히 대통령이 검토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양측이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모양새입니다.
국가 비상입법기구 관련 쪽지를 둘러싼 진실 공방도 예상됩니다.
[탄핵심판 3차 변론 : 저는 이걸 준 적도 없고 한참 있다가 언론에 뭐 이런 메모가 나왔다는 것을 기사에서 봤습니다. 이걸 만들 수 있는 사람은 국방장관밖에 없는데 국방장관이 그때 이제 구속이 돼 있어서 구체적으로 확인을 못 했습니다.]
신문 과정에서 두 사람이 실제 얼굴을 마주할지도 관심입니다.
3차 변론 때 국회 측에서 윤 대통령과 증인 사이 분리 신문을 요청했기 때문입니다.
증인들이 윤 대통령 앞에서 소신껏 진술하기 어려울 수 있어 가림막을 설치하거나 윤 대통령을 잠깐 퇴정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헌재는 오늘 변론기일 전 구체적인 증인 신문 방식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박선호]
이재승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