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업무에 복귀한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헌재가 2인 체제를 인정한 만큼 밀린 안건들을 그대로 의결하겠다고 했습니다.
허가 기간이 만료된 12개 방송사들의 재허가와 재승인, 그리고 대법원 판단을 앞두고 있는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 교체 문제에 집중할 계획인데, 바빠질 방통위 상황을 백대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6개월 만에 방통위로 출근한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2인체제 의결' 논란이 종식됐으니 업무에 매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진숙 / 방통위원장
"헌법재판소가 아주 깔끔하게 정리를 해 주셨다. 2인 체제는 적법한 것이다."
기각과 인용이 4대4 동률이었다는 야당 공세엔, 헌재의 최종 판단은 기각이라며 일축했습니다.
곧바로 사무실로 올라가 간부 회의를 소집하며 업무를 재개했습니다.
직무정지 기간 중 심사기한이 만료돼 현재 무허가 방송 중인 KBS와 MBC 등 12개 방송사 재허가와 재승인, 인앱결제를 강제한 구글과 애플에 대한 수백억 원 대 과징금 의결에 속도를 낼 방침입니다.
이 위원장은 다만 야당의 탄핵소추안 발의 사유였던 방문진 새 이사 선임과 관련해선 말을 아꼈습니다.
이진숙 / 방통위원장
"그건 차츰차츰 말씀드릴 기회가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이 위원장은 취임 직후 김태규 부위원장과 KBS, 방문진 이사 선임안을 의결했고, 이에 야당은 곧바로 탄핵 절차에 들어가 취임 이틀 만에 탄핵안을 처리했습니다.
여기에 기존 이사들도 새 이사들에 대한 효력 집행정지를 신청했는데, 이들에 대한 임명 처분 취소 소송은 현재 대법원 판단을 앞두고 있습니다.
방통위는 "앞선 1, 2심에선 모두 패했지만 오늘 헌재 결정이 분기점이 됐다며 대법원 결정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입니다.
TV조선 백대우입니다.
백대우 기자(run4free@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