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김용현 전 장관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정치인 체포를 지시받은 적도, 자신이 지시한 적도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만 계엄 포고령을 위반할 우려가 있는 정치인들에 대한 동정을 미리 파악하라는 취지였다고 말했는데요.
이는 집행 의사가 없었다는 윤 대통령 측 입장과도 배치됩니다.
구민지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김용현 전 국방장관은 정치인 체포를 지시한 적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용현/전 국방장관]
"제가 판단해서 여인형 사령관한테 체포하라는 그런 지시가 아니고 포고령 위반 우려가 있는 그런 대상자들을 몇 명 불러주면서 그 인원들에 대해서 동정을 잘 살펴라 그렇게 이제 지시한 바는 있습니다."
체포조 운용 혐의도 부인했습니다.
"체포할 수 있는 혐의도 없고, 체포할 기구도 구성되지 않았는데 어떻게 체포가 이뤄지느냐"며 격앙된 어조로 항변했습니다.
하지만 검찰 조사 결과는 다릅니다.
검찰은 김 전 장관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 주요 인사 14명에 대한 체포를 지시했다는 증거를 확보해 놓은 상태입니다.
계엄 당시 출동조 단체 대화방에는 우원식·이재명·한동훈 등 정치인을 우선 체포해서 구금시설로 옮기라는 지시가 공유됐습니다.
포승줄과 수갑을 이용하라는 지시까지 있었습니다.
지시를 이행한 사람은 있는데, 정작 상급자는 지시한 적이 없다는 주장을 늘어놓자 재판관도 따져 물었습니다.
정형식 재판관이 "다른 사람은 체포하라고 지시했다는 취지로 얘기하고 있다"면서 "해당 인물들의 동정을 파악해서 포고령을 위반하면 체포해야된다 이렇게까지 지시한 게 아니냐"고 묻자 김 전 장관은 "그건 아니"라고만 답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체포를 지시했다는 진술도 한 둘이 아닙니다.
조지호 경찰청장은 앞서 "국회의원들을 다 잡아들이라"는 윤 대통령 전화를 받았다고 진술했습니다.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도 국회에 나와 윤 대통령이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라"는 지시를 했다는 걸 재차 강조했습니다.
[홍장원/전 국가정보원 1차장 (그제)]
"위원장님 집에 가셔서 편안하게 가족들하고 저녁 식사하고 TV 보시는데 방첩사 수사관과 국정원 조사관들이 뛰어들어서 수갑 채워서 벙커에 갖다 넣었다. 그러면 안 되는 거 아닙니까?"
하지만 김 전 장관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체포 지시를 받은 적도 없다며, 윤 대통령을 두둔했습니다.
MBC뉴스 구민지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구민지 기자(nine@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