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김용현 전 장관은 국무위원들이 받았다는 '계엄 관련 쪽지'도 다 자신이 쓴 것이고 대통령은 무관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그 쪽지를 받은 국무위원들은 '대통령이 직접 줬다' 일관되게 증언하고 있습니다.
김재현 기자입니다.
[기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국회를 무력화하려 했던 것으로 의심되는 '비상입법기구' 쪽지를 자신이 썼다고 했습니다.
쪽지는 실무자를 통해 최상목 경제부총리에게 전달했다고 했습니다.
[송진호/변호사 (윤석열 대통령 측 대리인단) : 증인이 국무회의 당일 경제부총리 최상목에게 쪽지를 건넨 사실이 있습니까?]
[김용현/전 국방부 장관 : 예 있습니다. 근데 제가 직접 건네진 못하고 최상목 장관이 좀 늦게 왔습니다. 제가 직접 만나진 못해서 실무자를 통해서 전했습니다.]
하지만 최 부총리의 기억은 달랐습니다.
[최상목/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2024년 12월 / 국회) : 대통령이 들어가시면서 제 이름을 부르시고 저를 이렇게 보시더니 이거 참고하라고 하니까 누군가가 저한테 자료를 하나 줬습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 역시 윤석열 대통령에게 직접 쪽지를 받은 순간을 증언한 바 있습니다.
[조태열/외교부 장관 (2024년 12월 / 국회) : 앉자마자 비상계엄을 선포할 생각이라고 대통령님이 저에게 말씀하시면서 종이 한 장을 주셨습니다. 그 속에는 외교부 장관이 취해야 할 조치에 관해 간략히 몇 가지 지시사항이 있었고요.]
김 전 장관은 또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상민 행안부 장관, 조지호 경찰청장 등에게 전할 쪽지도 있었다고 증언했습니다.
[김용현/전 국방부 장관 : 기재부 장관뿐만이 아니고 외교부 장관도 있었고, 경찰청장, 국무총리, {총리 것도 있었습니까?} 예. 그래서 {행안부 것도?} 행안부 장관도 있었고.]
김 전 장관 주장대로라면 국방부 장관이 주요 장관들에게 임무를 부여한 문서를 만들었고, 최상급자인 윤 대통령은 이른바 '전달책'에 불과한 셈입니다.
결국 앞서 나온 장관들의 일관된 증언까지 부인하며 윤 대통령의 책임 회피를 돕는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영상취재 구본준 / 영상편집 박선호]
김재현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