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고양이에게 생선 못 맡겨" vs 야 "국민의힘 극우화…정신 차리길"
[앵커]
설 명절 연휴가 끝난 오늘(31일), 여야는 나란히 설 민심을 받들겠다는 메시지를 내놨습니다.
모두 '민생'을 강조했는데, 강조점엔 차이가 있었습니다.
국회로 가보겠습니다.
윤솔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명절 뒤 첫 공개회의에서 여야는 모두 '민생'을 키워드로 꺼내들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달랐습니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여야정 국정협의체에 방점을 찍었습니다.
권 비대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여야정 국정협의체를 정상 궤도에 올려놓고 민생 경제에 도움이 되는 모든 사안을 신속히 논의하자"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반도체특별법 등 법안 처리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재명 대표를 겨냥한 공세도 이어갔는데요. 이 대표의 이른바 '흑묘백묘론'을 겨냥했습니다. 이 내용은 직접 확인하시겠습니다.
"조기대선 분위기 조장하는 것도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검든 희든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길 수는 없습니다. 이재명 대표가 대통령이 되기라도 하면 나라 전체가 공산 전체주의국가 되는 것 아니냐고 걱정하고 있습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추경을 재차 꺼내들었습니다.
이 대표는 "민생 경제를 살릴 추경, 민생에 온기를 불어넣을 민생 지원금이 꼭 필요한 상태"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만약 정부 여당이 민생 지원금 때문에 추경을 못하겠다면 민생 지원금을 포기하겠다"며 기존 입장에서 한 발 물러섰습니다.
동시에 이 대표는 과거 연금 개혁이 국민의힘의 반대로 합의되지 못했다고 강조하면서 견제구를 던졌습니다.
국민의힘을 향해선 "극우화되고 있다"며 날 선 비판도 쏟아냈는데요. 이 대표의 발언 직접 들어보시죠.
"불법 계엄을 동조, 또는 비호하고 서부지방법원 폭동을 사실상 응원하다시피 또는 비호하다시피 하는 그런 행태로 어떻게 대한민국의 나라 살림을 책임지겠습니까?…정신을 좀 되찾기를 다시 한 번 권고 드립니다."
[앵커]
오후에 내란 특검법 국무회의가 예정돼 있어서 여야가 엇갈린 입장을 내놨을 거 같은데, 어떤가요?
[기자]
말씀대로 여야는 상반된 목소리를 냈습니다.
연휴 사이 이뤄진 윤 대통령 구속기소가 내란 특검법 공방의 변수로 떠오르고 있는 분위긴데요.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내란 특검법 주장 역시 함께 일축하면서, 대통령 구속 기소와 탄핵 심판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우선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민주당을 향해 "수사와 기소가 끝나 재판이 시작되는 마당에 민주당은 특검 주장을 거두지 않고 있다"며 "역대급 국력 낭비"라고 비난을 퍼부었습니다.
동시에 구속 기소를 결정한 수사 기관에 유감을 표하면서 헌법재판관 관련 문제 제기를 이어갔습니다.
당 전략기획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정훈 의원 역시 "재판관 한 명 한 명의 과거 이력이 편파적이라고 할 때, 민주 사회에서 제시할 수 있는 질문들"이라며 지원사격에 나섰습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내란 특검법 공포를 다시 한번 촉구했습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특검법 공포는 나라를 정상화하고 다시 도약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면서 "거부해서도 안되고 거부할 수 없는 국민 명령"이라고 말했습니다.
박 원내대표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향해 "국민 뜻을 받드는 옳은 결정을 하기를 촉구한다"고 압박했습니다.
노종면 원내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국민의힘을 향해 "내란 동조세력이 '특검 무용론'을 유포하고 있다며 특검이 두렵다는 자백"이라고 말했습니다.
오후 3시 국무회의에서 최 대행의 거부권 행사 여부가 결정되면, 여야는 또 다시 강하게 맞붙을 거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solemio@yna.co.kr)
#민생 #국정협의체 #추경 #내란특검법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