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대통령, 행안부 장관 심지어 경찰청장 자리까지도 비상계엄 이후 직무 정지 또는 직위 해제되면서 현재 대행 체제에 놓여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경찰 고위직 승진 인사가 발표됐는데, 그 명단엔 내란 사태 핵심 관련자들과 수차례 통화한 인물이 포함됐습니다.
김정우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비상계엄이 내려졌던 작년 12월 3일 밤,
10시 31분, 그리고 1분 뒤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은 조지호 당시 경찰청장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경찰이 국회를 봉쇄하기 시작한 11시 10분부터 임정주 경비국장과 2차례, 4일 오전 0시 41분에는 국회 관할인 서울 영등포경찰서장과도 통화했습니다.
국회에서 계엄해제를 의결한 뒤인 오전 1시 12분에는 조지호 당시 경찰청장, 4분 뒤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각각 전화를 걸었습니다.
박 국장은 경찰청장 바로 아래 계급인 치안정감 승진 예정자로 선정됐습니다.
[백혜련/더불어민주당 의원]
"내란의 주요 종사자로 지금 수사가 들어가야 되는 사람이에요. 이런 사람을 지금 승진 발령이 되면 경찰의 기강이나 또 향후 수사에 대해서 어떻게 되겠습니까."
국회 청문회에 나온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는 "정무직이 아닌 최소한 인사조치를 한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최상목/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그런 구체적인 사항은 알지 못했고요. 치안 공백뿐만 아니라 국정 전체적으로 여러 가지로 연말, 연초에 인사들이 있어야지만 이게 국정 안정이 되기 때문에..."
지방경찰청장급인 치안감 승진자는 3명 중 2명이 용산 대통령실을 거쳐갔고, 이례적으로 승진이 빠르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국민의힘은 "야당 논리대로면 권한대행은 탄핵심판을 진행할 헌법재판관도 임명하지 말아야 한다"며 "권한대행의 정당한 인사권 행사"라고 최 부총리를 엄호했습니다.
민주당은 "대통령실과 최상목 권한대행이 경찰 고위직을 '윤석열맨'으로 채워 내란죄 등 수사를 방해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고 날을 세웠습니다.
MBC뉴스 김정우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김정우 기자(citizen@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