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윤 대통령의 내란 혐의를 입증할 증거 중 하나가 국무위원들이 받았다는 쪽지입니다. 최상목 대행은 국회를 대신할 '비상입법기구'라는 내용이 적힌 쪽지에 대해 계엄 선포 직전에 받은 거라고 다시 확인했습니다. 최 대행이 보류한 헌법재판관 임명 문제도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조민중 기자입니다.
[기자]
윤 대통령은 그동안 '비상입법기구' 관련 조치사항이 담긴 문건을 부인했습니다.
[탄핵심판 3차 변론 : 저는 이걸 준 적도 없고 한참 있다가 언론에 뭐 이런 메모가 나왔다는 것을 기사에서 봤습니다.]
그러나 최 대행은 국회에서 윤 대통령의 이런 주장을 다시 정면으로 반박했습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사용한 호칭도 기억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최상목/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윤석열이 '상목아'라고 부르면서 '이것 참고해' 이렇게 말했습니까?} 기획재정부 장관이라고 부르셨고요. 그 자리에서 옆에서 누군가가 저한테 참고자료라고 전달해줬습니다.]
다만 쪽지 내용은 미처 보지 못했다고 했습니다.
[최상목/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대통령이 준 지시 문서를 부총리가 안 봤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가지요.} 그렇다고 저는 생각 안 합니다. 그 당시에는 상당히 저한테는 초현실적인 상황이었고요.]
전달받은 자료가 "접힌 상태의 쪽지 형태였다"며 생김새까지 설명했습니다.
최 대행은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에 대한 견해도 밝혔습니다.
권한쟁의 헌법소원 심판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헌재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헌재의 임명 결정이 나오면 즉시 마 재판관을 임명하겠느냐'는 질문엔 '아직 결정이 나지 않았기 때문에 예단해서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여당은 최 대행이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결정이 적절했다고 옹호했지만 민주당은 헌법 위반이라며 비판 수위를 높였습니다.
[영상편집 박수민]
조민중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