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덕여대 학교 측은 학생들에게 "집회 전 '사전 허가원'을 제출해야 한다"는 위헌적인 규정을 따르라고 요구하는 등 학생들의 의견 표현을 부당하게 억압해왔습니다. JTBC 취재 결과, 최소 150명이 넘는 동덕여대 학생들이 학교에 항의의 뜻을 전하기 위해 휴학을 결정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학생들은 "학교의 주인인 학생들의 의견을 무시하는 학교에 다니고 싶지 않아서", "공학 전환 반대의 의지를 학교에 보여주기 위해서" 등 각자 휴학을 하게 된 이유도 밝혔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지금, 이 뉴스〉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동덕여대 재학생 김모 씨는 며칠 전 휴학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휴학 기간은 '1년'.
휴학 사유란엔 '비민주적 학사 행정 규탄', '공학 전환 반대'라고 적었습니다.
[김모 씨/ 동덕여자대학교 재학생]
"편안하고 믿을 수 있는 공간이었는데… 지금의 학교는 믿을 수도 없고 신뢰도 안 가고."
학생 총회도 열고 교내외 집회도 여러 번 했지만, 학교 측의 태도가 변하지 않아 선택하게 된 방법이라고 했습니다.
[김모 씨/ 동덕여자대학교 재학생]
"저희는 사립학교다 보니까 돈(등록금)이 없으면 안 되잖아요. 학교에 가장 크게 타격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봤을 때 그게 휴학인 것 같아서. 부모님께서도 '이런 식으로 날치기로 공학 전환을 해버리는 건 안 된다'고 응원해 주시는 상황…"
JTBC 취재 결과, 최소 150명이 넘는 동덕여대 재학생이 학교에 대한 항의 차원에서 휴학을 결정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56명은 한 학기를, 89명은 두 학기를 쉬겠다고 했습니다.
"학교는 학생의 목소리를 이런 식으로라도 들으라", "학내 민주주의를 죽이는 학교가 부끄럽다" 등 각자 휴학을 결심한 이유도 밝혔습니다.
학생 비대위 측은 아직 휴학 신청 기간이 남아 있어 실제 휴학생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편, 학교 측은 3월부터 '공학 전환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이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에겐 구체적인 진행 상황이 제대로 공유되지 않는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박수빈/ 동덕여자대학교 비대위 집행위원장]
"(공학 전환 공론화위원회에) 누가 나오는 건지 이런 것에 대해서 하나도 논의된 바가 없으며… 본인들이 얼마나 소통이 지금 부재했는지 (학교가) 정확하게 좀 판단을 하는 과정을 가졌으면 좋겠고요."
이희령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