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미일 정상, 북한 비핵화 의지 재확인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김정은과의 대화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북한은 핵은 흥정물이 아니며 실전용이란 입장을 밝혔는데요.
향후 한반도 정세 짚어보겠습니다.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와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질문1] 미일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은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단호한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취임 당일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언급했던 것과는 다소 달라진 행보인데요. 배경을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2]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화의 손길을 거듭 내밀었습니다. "김정은과 잘 지내면 자산"이라고 말했는데요. 다만 "탱고를 추려면 두 사람이 필요하다"며 현재 대화의 통로를 닫고 있는 북한을 향해 전향적인 변화를 촉구했어요?
[질문3] 이에 대해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논평을 통해, 핵은 몇 푼의 돈으로 맞바꿀 흥정물이 아니며, 실전용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비핵화 협상엔 응하지 않겠단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대화 진전이 가능할까요?
[질문4] 이런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은 미국이, 세계대전 발발 위험 키웠다며 핵무력 강화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새로운 계획사업을 언급하기도 했는데, 이 새로운 계획사업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5] 우리 정부는 미일 정상의 북한 비핵화 의지 천명에 환영 입장을 내놨습니다. 한국의 외교 공백이 길어지는 와중에 혹시라도 대화 분위기가 무르익게 되면, 한국의 발언권은 적어질 수 있어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질문6] 트럼프 대통령이 이시바 총리에게 관세와 방위비 청구서를 내밀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대규모 투자와 방위비 증액으로 화답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타깃은 한국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어요?
[질문7]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에는 많은 국가를 상대로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발표하겠다는 입장인데요. 어느 정도 수준이 될 거라고 예상하십니까?
[질문8]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전선에서 일시 후퇴했던 북한군이 다시 전면 배치됐다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이번 주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회동을 예고했는데, 종전 논의에 속도를 낼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