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잘사니즘'이 새 비전"…국민의힘 "반성과 성찰 먼저"
[앵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 나섰습니다.
진보든 보수든 모든 정책을 총동원하자며 실용주의 노선을 재차 내세웠는데, 대규모 추경과 직접 민주주의 강화를 제안했습니다.
자세한 소식,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정다예 기자.
[기자]
네, 이재명 대표 교섭단체 대표 연설 주제는 '회복과 성장'이었습니다.
이 대표, 성장해야 나눌 수 있다며 '회복과 성장 위원회' 설치를 알리면서, '먹사니즘'에 이어 '잘사니즘'을 새 비전으로 제시했습니다.
구체적으로 AI 산업을 전략자산으로 키워야 한다고 했고, 그외에도 바이오, 문화 콘텐츠, 방위사업, 에너지 사업 지원을 강조했습니다.
최소 30조원 규모 추경을 제안하면서, 특정 항목을 고집하지 않겠다고도 밝혔습니다.
관심을 모은 반도체산업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 문제에 대한 직접 언급은 없었지만, "첨단기술에 의한 생산성 향상은 '노동시간 단축'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나아가 "창의와 자율의 첨단기술사회로 가려면 노동시간을 줄이고 주 4.5일제를 거쳐 주 4일 근무국가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념이 무슨 소용 소용이냐며, 최근 강조해온 실용주의 노선도 분명히 했는데요. 직접 들어보시죠.
"민생 살리는데 색깔이 무슨 의미입니까. 진보정책이든 보수정책이든 유용한 처방이라면 총동원합시다. 함께 잘사는 세상을 위해 유용하다면 어떤 정책도 수용할 것입니다."
아울러 정치는 결국 국민이 하는 거라며, 빛의 혁명을 위한 첫 조치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앵커]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연설에 진정성이 없다고 비판했지요. 여당 의원들의 윤석열 대통령 접견도 있었다면서요.
[기자]
네, 국민의힘은 이 대표 연설에 진정성이 없다며 반성과 성찰이 먼저라고 꼬집었습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1984' 소설에 나오는 선전 선동 부처가 생각난다고 했고, 권성동 원내대표는 "말의 성찬으로 끝난 것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앞서 아침 회의에서도 권영세 위원장은 이재명 대표가 반도체특별법 주52시간제 예외조항을 수용하는 듯하다 말을 바꿨다며, 오락가락 행보가 점입가경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핵심 사항도 잘 모르는 채 당내 설득도 없이 이재명 대표 혼자서 말로만, 우클릭을 한 것입니다. 이 정도면 또 한편의 대국민 사기극입니다."
이런 가운데 김기현, 추경호 등 친윤계 의원 5명은 오늘 서울구치소에서 윤대통령을 면담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윤대통령은 "당이 자유 수호 운동을 진정성있게 뒷받침해주면 국민 사랑을 받지 않겠나"라고 말했다고 김 의원은 전했습니다.
또, "국민들, 특히 청년들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의식을 강하게 갖고 있다는 소식을 들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도 말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최근 국민의힘 의원들은 탄핵 반대 집회를 공개적으로 찾는 등 지지층을 겨냥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야권을 중심으로 극우 세력과 손을 잡았다는 비판이 나오는데, 당은 오늘 일부 언론이 탄핵 반대 집회에 극우 프레임을 씌운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의원들 집회 참석은 개별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