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지난해 30조 원이 넘는 세수 펑크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역대 최대 규모 세수 펑크가 났었던 2023년 이후에 2년 연속 대규모 세수 결손이 생긴 건데요.
자세한 내용을, 박소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리포트 ▶
지난해 국세수입은 336조 5천억원.
정부 예산편성 때 내놨던 국세수입보다 30조 8천억원 감소했습니다.
작년 9월 발표한 세수 재추계치보다도 1조 2천억 줄어든 숫자입니다.
역대 최대 '세수펑크'가 났던 23년 이후 2년 연속 세수결손이 발생한 겁니다.
국세수입이 이렇게 줄어든 데에는 23년 기업 실적 악화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상장사의 영업이익이 22년 84조원에서 23년 46조 9천억으로 44%나 줄어들면서 법인세 수입이 17조 9천억원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3대 세목 가운데 소득세와 부가세 수입은 전년보다 양호했습니다.
1년이상 급여를 받은 상용 근로자수가 전년보다 1.1% 증가하고, 1인당 임금도 3.7% 늘어나면서 근로소득세는 전년대비 1조 9천억원 늘었습니다.
1년만기 정기 예금금리가 22년 3.11%에서 23년 3.83%로 늘어나는 등 금리 상승으로 인해 이자 소득세도 2조원 증가했습니다.
부가가치세도 민간 소비가 1% 넘게 오르고, 소비자 물가가 2.3% 상승한 영향으로 전년대비 8조 5천억원 늘었습니다.
유류세 탄력세율 인하조치를 부분 환원하면서 교통세도 5천억원 증가했습니다. 한편 올해 국세수입은 지난해 실적보다 45조 9000억원 늘어난 382조 4000억원으로 전망됩니다.
MBC뉴스 박소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박소희 기자(so2@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