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윤 대통령을 위한 문제의 안건을 상정한 건, 윤 대통령이 임명한 차관급 김용원 인권위원이었습니다. 임명 직후부터 군대에서 집단 구타로 숨진 유족을 경찰에 수사의뢰하는 등 약자의 인권을 외면한단 비판을 줄곧 받아왔는데 계엄 이후부턴 이렇게 윤 대통령 지키기에 인권위를 이용하고 있는 겁니다.
김지윤 기자입니다.
[기자]
김용원 인권위원은 지난 5일, 소셜미디어에 '헌재가 대통령을 탄핵한다면 국민은 헌재를 두들겨 부숴 없애버려야 한다'며 '헌재가 야당의 하청을 받은 싸구려 용역 업체'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내란 선동 혐의로 고발당하는 등 비판이 거세자 주권자 국민의 뜻이 탄핵 인용인지 기각인지 모르지만, 그 뜻에 따라야 한다는 취지였다는 해명을 내놓았습니다.
[김용원/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 탄핵 결정이 탄핵 인용 결정이라고도 하지 않았고 기각결정이라고도 하지 않았어요.]
김 위원은 2년 전 윤 대통령의 임명으로 인권위 상임위원이 된 인물입니다.
이후 인권위를 향해 이념 공세를 폈습니다.
[김용원/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2024년 7월 1일) : 현재 국가인권위원회는…인권 좌파들의 해방구가 되어 있는 실정입니다.]
김 위원이 반인권적 행위에 앞장선다는 비판도 커졌습니다.
선임병의 집단 구타로 숨진 윤승주 일병의 어머니 등 가족이 인권위에 항의 방문한 것을 두고 "유족이 자신을 감금·협박했다"며 경찰에 수사 의뢰를 한 게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유엔 특별보고관이 외교부에 '김 위원의 반인권적 행태가 우려된다'는 취지의 서한을 보내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12.3 내란 이후엔 윤 대통령 옹호에 앞장서자 지난달 인권위 직원들이 항의에 나섰는데, 이런 답변을 내놨습니다.
[김용원/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지난 1월 10일) : {인권침해범의 인권을 보장하는 게 말이 됩니까?} 인권침해범도 인권이 있습니다.]
이 발언을 하고 며칠 뒤인 지난달 16일 인권위는 유엔에 '인권위가 정상화되었다'는 자화자찬식 서한을 보냈습니다.
[영상편집 지윤정 / 영상디자인 최석헌]
김지윤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