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에 들어오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모두 25%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밝혔습니다. 취임 이후 몇몇 나라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었던 트럼프가 이제는 특정 품목을 겨냥하고 나선 겁니다. 트럼프는 또 같은 물건에 상대방이 매긴 관세만큼, 똑같이 갚아주는 상호관세도 곧 발표한다고 했습니다. 오늘(10일) 뉴스는 이런 조치가 우리와 어떤 관계가 있을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트럼프 발표 내용을 뉴욕 김범주 특파원이 전하겠습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시간으로 월요일인 10일 모든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발효도 거의 즉시 이뤄질 예정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미국으로 오는 모든 철강에 25% 관세를 붙일 겁니다. 알루미늄도 마찬가집니다.]
품목 별로도 관세를 매기겠다고 말한 지 열흘 만에 첫 대상을 정한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지난달 31일) : 우리는 반도체에 관세를 물릴 것입니다. 석유와 가스에도 부과할 겁니다. 철강, 알루미늄, 궁극적으로 구리에도 매길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때도 수입되는 모든 철강에 일괄적으로 25%, 알루미늄에는 10%를 관세를 부과한 뒤에, 개별 국가와 따로따로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이 덕분에 미국에 연간 철강 천 2백만 톤을 생산할 공장들이 새로 지어졌다면서, 이번에도 국내 투자로 이어질 거란 기대를 내놓고 있습니다.
오는 화요일 또는 수요일에는 상호관세도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예를 들어서 현재 미국은 유럽 차에 관세를 2.5% 부과하는 반면, 유럽은 미국 차에 10%를 매기고 있는데, 이런 경우에 조건을 똑같이 맞추겠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아주 간단하게 우리한테 관세를 물리면, 그들에게 똑같이 해줄 겁니다. 우리에게 130%를 물리는데 가만있는 일은 없어야죠.]
서로 비슷한 관세를 매기는 나라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해서, 이미 FTA로 98% 품목에 무관세를 시행하는 우리나라는 직접 타격이 적을 것으로 보이지만, 상호 관세의 구체적 내용에 따라 변수는 남아 있습니다.
(영상취재 : 이상욱, 영상편집 : 이승열)
김범주 기자 news4u@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