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7차 변론이 열리고 있습니다.
현재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의 증인신문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한채희 기자!
[기자]
네.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에 대한 증인신문이 오후 2시를 조금 넘겨서부터 진행 중입니다.
신 실장은 윤석열 대통령 측과 국회 측 모두 신청한 증인인데요.
윤 대통령 측이 신문을 먼저 시작했는데, 그동안 안보 위협 등 때문에 비상계엄 선포가 정당했다는 취지의 주장을 이어온 만큼 계엄 선포 전후 안보상황에 대해 집중 질의했습니다.
신 실장은 "북핵 문제, 북한의 러시아 파병 등으로 안보 불확실성이 높았다"면서 "대통령이 안보에 대한 우려가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윤 대통령 측이 중국의 선거개입 가능성 등에 대한 질문에는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신 실장이 윤 대통령이 비상대권을 언급하기 시작한 지난해 봄 국방장관으로 재직한 만큼, 사전에 비상계엄을 인지했는지 여부, 김용현 장관으로 교체 과정에 대한 질문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오전에는 이상민 전 장관의 증인신문이 이어졌죠. 어떤 내용이 오갔나요?
[기자]
네. 이상민 전 장관에 대한 증인신문은 1시간 50분쯤 진행됐습니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전 열렸던 국무회의가 절차적으로 문제 없었단 취지의 주장을 펼쳤는데요.
우선 "계엄 당일 국무회의에 참석한 국무위원들은 국무회의를 한다고 사전에 인지했을 것"이며, 의사정족수인 11명이 도착하기까지 기다리는 차원에서 대통령이 계엄 선포를 30분가량 미뤘다고 주장했습니다.
특정 언론사에게 단전 및 단수를 지시했단 의혹과 관련해서도, "쪽지에 이 내용이 적힌 것을 대통령 집무실에 들어갔을 때 멀리서 봤다"면서도 윤 대통령으로부터 관련 지시를 받은 적도 없고, 자신이 소방청장 등에게 지시를 내린 적도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 전 장관 신문이 끝난 뒤 직접 발언을 했는데요.
일부 참석자들이 국무회의가 아닌 간담회로 느꼈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과 관련해서 "국무위원이 간담회를 오거나 놀러 온다고 생각하는 게 말이 되지 않는다"라고 주장했습니다.
헌재와 윤 대통령 측은 검찰 조서를 증거로 채택하는 문제를 두고 공방을 벌였는데요.
대리인단은 증인신문 시작 전, 비상계엄 관련자들의 진술 내용이 담긴 검찰 피의자 신문조서를 탄핵심판의 증거로 쓸 수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윤 대통령도 직접 "여러 수사 기관이 중구난방으로 조사했다"며 "조서에 기재된 내용과 실제 증언 간 거리가 있다는 걸 국민이 느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재판관들은 이와 관련해 검토해보겠다면서도 평의를 거친 사항이라고 답변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의 증인신문이 종료되면 백종욱 전 국정원 3차장과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에 대한 신문으로 이어지는데요.
두 사람을 대상으로는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된 질문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연합뉴스TV 한채희입니다.
[현장연결 정창훈]
#윤석열 #탄핵심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채희(1c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