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윤석열 대통령이 추진하던 4대 개혁 과제 중 '연금 개혁'과 관련해 국회에 조속한 합의를 촉구했습니다.
'더 내고 덜 받는' 방향으로의 연금 개혁을 거론했는데, 반발도 예상됩니다.
최지숙 기자입니다.
[기자]
비상계엄 사태와 함께 멈춰선 '4대 개혁'.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 중 '연금 개혁'을 시급한 과제로 꼽고 시동을 걸었습니다.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연금 개혁입니다. 국민연금이 지금처럼 운영된다면, 2041년에 적자로 전환되고 2056년에는 기금이 완전히 소진될 것입니다."
어느 누구도 과도한 부담을 지지 않으면서 국민 연금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 대행은 '더 내고 덜 받는' 구조를 띄웠습니다.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더 내고 덜 받는' 사회적 합의가 필수적입니다. 여야, 국회에서 하루속히 합의안을 도출해주시길 바랍니다."
최근 국회에선 연금 고갈 시점을 늦추기 위해 '재정안정파'와 '소득보장파'가 모수 개혁의 우선 이행에 처음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하지만 각론으로 들어가면 이견이 여전한 만큼 합의를 낙관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여야는 최 대행을 향해 각각 국방장관 임명과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촉구하고 있어, 최 대행의 선택에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마은혁 후보자와 관련해서도 우선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지켜본다는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
#연금개혁 #최상목 대행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지숙(js173@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