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정부의 눈치를 보던 식품업체들이 연초부터 줄줄이 식음료 가격 인상에 나섰죠.
고환율에 원자재 가격 급등까지 겹쳐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의 입장인데, 정부는 식품업계에 물가 안정에 동참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한지이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각종 먹거리 가격 인상 움직임이 계속되자, 정부가 식품업계 대표들을 불러 모았습니다.
CJ제일제당을 비롯해 오뚜기와 대상, 롯데칠성음료, 농심 등 17개 주요 업체가 한 자리에 모였는데, 정부는 이 자리에서 공개적으로 물가 안정 정책 기조에 동참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최근 2주간 빵, 과자, 커피 등 식음료 가격을 올리거나 인상 계획을 발표한 기업이 알려진 것만 10곳 가까이 되면서 가공식품 가격 인상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커졌다는 판단에 섭니다.
<송미령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국민들의 소비가 많고 기업을 대표하는 핵심 품목에 대해서는 가격 인상을 최대한 자제하겠다…어쩔 수 없는 품목에 대해서는 인상을 하더라도 인상 폭을 최소화할 것이고 인상 시기라든가 이런 것들을 최대한 이연을 시키는 방식으로 협조를 하겠다는 말씀…"
정부는 식품 기업의 원가 부담 경감을 위해 올해 코코아 생두, 커피 농축액 등 13개 수입 원료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 수입 부가가치세 10% 면세 조치를 올해까지로 연장하기로 하고, 밀, 코코아 등 식품 원료 구입 자금으로 4,500억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만 식품 원료 가격이 오르는 데다 환율 변동으로 인한 수입 단가까지 크게 뛰면서 원가 부담이 커지자, 식품업계는 잇따라 판매 가격을 인상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까지 심화하고 있다보니 정부와 업계의 줄다리기는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
#농식품부 #물가 #식품업체 #식품가격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지이(hanj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