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텅 빈 마트의 쌀 코너, '다 팔렸음'을 알리는 딱지.
지난해 여름 시작된 일본의 쌀 품귀 현상입니다.
평균 가격은 지난해보다 약 70% 올랐고, 일부 지역에선 2배에 가깝게 거래됩니다.
치솟은 쌀값에 가계 소비지출 대비 식비 비율인 엥겔지수도 28%, 4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주원인은 사재기.
난카이 지역 대지진 우려로 시작된 쌀 사재기는 쌀 가격이 오르자 더 심해졌습니다.
일부 업자들이 재판매로 이득을 기대하며 쌀을 사들이고 안 팔면서입니다.
오히려 지난해 생산량은 전년보다 18만 톤 많았습니다.
그러나 쌀 수거업체가 농가에서 사들인 쌀은 20만 톤 줄었습니다.
'쌀로 투기를 한다'는 지적이 쇄도했습니다.
정부는 '가을 햅쌀이 나오면 해결된다'며 버텼지만 해가 넘도록 문제는 심해지고 늑장 대응에 비판 여론도 커졌습니다.
결국 어제 정부가 비축해둔 쌀 중 일부를 푼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에토 다쿠/일본 농림수산상]
"국민 생활에 너무 큰 영향이 있고 가격 상승도 급격해서…"
범죄 우려로 보여주지 않던 비축 쌀 창고 모습도 공개했습니다.
정확한 방출량은 내일 발표하는데, 상인들은 "대량으로 풀지 않으면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냈습니다.
화면출처: NHK뉴스·아사히신문 웹사이트, 유튜브 'tbsnewsdig'·'RCC NEWS DIG Powered by JNN'
윤재영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