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최근 고령층을 상대로 가짜 카드배송을 앞세운 보이스피싱 범죄가 늘고 있습니다.
피해 규모가 늘면서 금융당국이 지난 연말에 발령했던 소비자 경보 등급을 상향했습니다.
박소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금융감독원이 보이스피싱 범죄로 인한 소비자경보를 기존의 '주의' 단계에서 '경고'로 올렸습니다.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9월 249억 원에서 지난 연말에는 610억 원으로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특히 고령층의 피해가 컸습니다.
2억 원 이상의 고액 피해자 가운데 약 80%가 여성이었으며 특히 60대 여성이 과반수를 차지했습니다.
최근 기승을 부리는 수법은 '카드배송 사칭'입니다.
신청한 적 없는 카드가 발급됐다면서 피해자들을 가짜 고객센터로 전화를 걸도록 유도하는 겁니다.
이 과정에서 미끼 문자 대신 직접 전화를 걸거나 위조된 실물카드를 배송하러 직접 피해자를 방문하는 등 적극적으로 범행을 시도했습니다.
가짜 고객센터는 피해자들에게 정상적인 원격제어앱을 설치하도록 한 뒤 피해자의 휴대전화를 통제해 악성앱을 몰래 심었습니다.
악성앱까지 설치되면 검찰이나 금감원 번호로 전화를 해도 사기범에게 연결됐습니다.
[정재승/금감원 금융사기대응단 국장]
"카드사나 금융회사 공공기관은 절대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원격 제어 앱 설치는 거절하셔야 합니다."
금감원은 검찰이나 금감원 등 국가기관은 자금이체를 요구하지 않는다면서 사기범에게 속아 금전을 이체한 경우에는 최대한 신속히 경찰이나 금융회사 콜센터로 연락해 지급정지를 요청하라고 당부했습니다.
MBC뉴스 박소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박소희 기자(so2@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