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명태균 특검을 밀어붙이겠다는 야당과, 허무맹랑한 소설이라는 여당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야는 상속세의 공제 한도를 18억 원까지 늘리는 상속세법 개정안을 두고도 주말에도 여론전을 이어갔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홍민기 기자!
먼저 명태균 특검과 관련한 정치권 분위기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서 나온 관련자들의 진술을 근거로, 명태균 특검 처리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계엄 선포가 대통령의 지극히 개인적인 부분 때문인 것 같았다는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과 계엄 전날 김건희 여사와 문자 메시지 두 통을 주고받았다는 조태용 국정원장의 말을 토대로.
특검을 통해 명 씨와 김 여사, 비상계엄 사이 연결고리를 밝혀내겠다고 공언했습니다.
민주당은 특검 입법 청문회에 명 씨를 증인으로 부르는 방안도 검토 중인데, 명 씨가 있는 창원교도소에서 현장 청문회를 열 가능성도 언급한 상황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비상계엄이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 때문이었단 건 민주당의 '신작 소설'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민주당 의원들이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을 회유한 정황이 불거지자 급하게 다른 의혹을 내세워 선동하려 하는 게 아니냐고 날을 세웠는데요.
민주당이 교도소 현장 청문회를 검토하는 데 대해선 여권을 향한 폭로를 내놓는 명 씨의 입만 바라보고 있는 거냐고 지적했습니다.
또 거대 야당이 명 씨에게 휘둘리는 셈이라며, 민주당의 아버지가 이재명 대표라는 건 알고 있었지만, 명태균이라는 상황이 등장한 거냐고 비꼬았습니다.
민주당은 최상목 권한대행이 재의요구권을 행사하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겠다며, 오는 27일 특검을 처리한다는 방침인데, 국민의힘은 당론으로 특검을 반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앵커]
상속세 개정안을 두고도 여야 사이에 설전이 벌어졌다고요?
[기자]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어제 자신의 페이스북에 상속세 개편은 어떤 게 맞느냐는 글을 올렸는데요.
민주당 안은 배우자 공제를 최대 18억 원까지 높여 수도권의 대다수 중산층이 집을 팔지 않고 상속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최고세율 인하를 고집해 수백, 수천억 원대 자산가만 이익을 보게 한다며 초 부자들을 위한 특권 감세는 절대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국민의힘은 논평을 내고, 거짓말 네이티브 스피커의 말을 믿는 국민이 누가 있겠느냐며, 이 대표에게 필요한 건 화려한 주장이 아닌 최소한의 신뢰성 회복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반도체 사업 근로자 주 52시간 근로 예외 수용, 전 국민 25만 원 지원금 철회 등을 시사했지만 현실화된 건 없다며, '우클릭'이 아니라 '가짜 클릭'이라고 지적했는데요.
여당의 상속세 개편안이 소수 특권을 위한 감세라는 주장에도 동의할 수 없다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세제 개편 방안을 국회 기재위 차원에서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홍민기입니다.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