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올해로 민선 지방자치가 부활한 지 30주년이 됐습니다.
경북에선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가 함께 정책을 협의하는 새로운 지방자치 협력 모델을 시도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정지훈 기자입니다.
[기자]
'경북 지방정부 협력회의'가 첫 회의를 열고 공식적인 출범을 알렸습니다.
첫 회의에선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성공 개최를 위한 공동협력 방안과 협력체 활성화 방안에 관한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강영석 상주시장> "대한민국 행정이나 정치가 기업을 너무 발목을 잡는다고 하는 것처럼 행정 내부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신속하게 좀 돌파를 해줄 수 있도록 이런 것을 제도화하고 공식화한다면…"
지방정부 협력회의는 도지사와 22개 시·군 단체장이 공동 참여하는 최고 정책협의체입니다.
광역단체와 기초단체가 수직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대등한 위치에서 안건을 협의하고 의결합니다.
도지사와 시장군수협의회장이 공동의장을 맡아 협의체를 함께 이끌어 갑니다.
특히 도지사와 기초자치단체장 전원이 참가하는 상설 협의체는 전국에서 처음 시도돼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김주수 의성군수(경북 시장군수협의회장)> "시군에서도 정책 건의 사항을 만들고, 도하고 이렇게 협의하면 소통은 더 잘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경북도는 지방정부 협력 회의가 발전이 정체된 지방에 활력을 끌어낼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 (17일)> "정부에서 모든 걸 다 정해놓고 하기 때문에 발전이 안 되는 겁니다. 시군에서, 또 도에서 자체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그런 지방 시대를 열기 위해서 오늘 이 회의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지방자치와 분권 체제 시도를 통해 인구 소멸 위기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한 지방이 위기를 극복하고 활성화를 이뤄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정지훈입니다.
#지방분권 #경북 #지방정부협력회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지훈(daegura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