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2월 임시국회가 후반부로 접어들었습니다.
반도체 특별법 도입과 추가경정예산 등 정치 현안을 두고 여야가 주도권 다툼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국회로 가봅니다.
이다현 기자,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네, 반도체법을 둘러싼 여야의 신경전이 거세지는 모습입니다.
반도체 연구개발 분야의 주 52시간 예외 조항을 두고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법안 자체가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는 우려가 나오는데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오늘 오후 판교에 있는 한 반도체 기업을 찾습니다.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됩니다.
국민의힘은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반도체 특별법에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규정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민주당은 이에 반대하며 여야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앞서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총노동시간을 늘리지 않고는 예외적용에 효용이 없어 필요없다고 한다"고 반대 입장을 재차 밝혔는데요
이어 반도체 특별법과 주52시간 근무제와 관련해 국민의힘에 토론을 제안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오늘은 추가경정예산 편성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이 대표는 오전 최고위 회의에서 "추경이 꼭 필요한 시점"이라며 "민주당이 주장해온 소비쿠폰 예산 편성이 불가능하다면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예산을 쓰자"고 제안했습니다.
내일 오후 최상목 권한대행과 우원식 국회의장, 여야 대표가 참석하는 국정협의회 4자회담이 열릴 예정인데요
이 자리에서 반도체법과 추경 편성 관련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오갈 것으로 보이지만 여야 모두 양보 없는 대치를 이어가고 있어 '빈손 협상' 우려도 나옵니다.
[앵커]
조기 대선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여야 주자들의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면서요?
[기자]
그렇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은 진행 중이지만 조기 대선 가능성에 대비한 여야 주자들의 행보는 본격화하는 모습입니다.
우선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가 쓴 책이 오늘 오전 10시부터 예약 판매에 들어갔습니다.
대표직에서 물러난 이후 잠행을 이어온 한 전 대표가 본격적으로 정계에 복귀하는 신호탄으로 해석됩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권 대선주자 중 지지율 선두를 달리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오늘 노동개혁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 참석하기 위해 국회를 찾았습니다.
김 장관은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온 이후 대선 출마를 고려하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말씀 드릴 게 아닌 것 같다"고 말을 아끼면서도 자신의 확장성에 대해선 "약자를 보살피는 것이 공직자의 첫번째 직분이라는 점을 잊은 적이 없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SNS에 명태균 의혹과 관련해 "사기꾼에게 여론조작을 당한 피해자일 뿐"이라고 강하게 반발했고,
안철수 의원은 오늘 라디오 인터뷰에서 "플랜B를 준비하고 있다"며 조기대선이 열릴 경우 출마하겠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이런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을 비롯한 야 5개 정당 대표들은 오늘 원탁회의 출범식을 열고 새로운 연대체를 띄웠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출범식에서 "헌정질서를 회복하고 국민들의 희망을 가지는 정상적 나라로 돌아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원탁회의는 향후 범야권과 시민사회단체를 포함한 연대체로 확장시킨다는 계획인데,
민주당은 선을 긋고 있지만 사실상 조기대선을 염두에 둔 연대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다현(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