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와 의사 간의 갈등은 1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출구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내년도 의대 증원은 각 대학에 100% 자율로 맡기는 방안을 내놨는데, 이걸 놓고도 반발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희정 기자입니다.
[기자]
복지부가 국회에 제출한 안입니다.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설치하고, 만약 추계위에서 정원이 결정되지 않으면 26학년도에 한해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조정하자는 겁니다.
정부안이 반영되면 각 대학 총장이 최소 0명, 최대 2000명 내에서 증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정부가 책임을 떠넘긴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대학 총장과 의대 교수, 의대생 간의 갈등이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A교수/국립대 의과대학 : (지난해) 50% 줄이라고 했을 때도 사립은 안 줄였고, 총장들이야 지금 당연히 학생 늘리려고 하죠.]
지난해 정부와 각 대학이 2천 명 증원을 확정했지만 일부 의대 교수들이 삭발식을 하며 반대해 결국 500여 명 가량을 줄인 바 있습니다.
당장 40개 의대 학장 등이 참여하는 의대협회는 오늘(19일), 내년도 의대 증원을 0명으로 해야 한다는 공문을 각 대학 총장에 보냈습니다.
반면 대학 측은 "증원된 정원을 유지하자"는 입장입니다.
의대생 수에 따라 학교 위상과 앞으로 지원 받을 정부 예산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늘 국회 논의 과정에서 대학 총장과 의대 학장의 협의를 거쳐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지만, 간극을 좁힐 수 있을지 미지수입니다.
의대 정원을 결정해야 할 마지노선은 4월입니다.
[영상취재 이지수 김대호 / 영상편집 김영석 / 영상디자인 최수진]
이희정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