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리뷰]
[ 앵커 ]
향후 15년의 전력 수급 방향이 담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국회 상임위 문턱을 넘었습니다.
정부는 원전과 재생에너지 시설 확충으로 폭증할 전력수요에 대비한단 계획인데요.
주민 수용성 확보가 난제로 꼽힙니다.
임혜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최종 보고된 전력수급기본계획 정부안에는 신규 대형원전 2기 건설과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용량을 함께 늘리는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당초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해 대형 원전 3기 건설을 추진했지만, 야당 반발에 부딪혀 내민 수정안입니다.
정부는 전력수요가 연평균 1.8%씩 늘어나 2038년에는 129.3GW까지 치솟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원전과 태양광 등 기본적으로 무탄소 전원 비중을 끌어올려 첨단산업, AI 등 폭증할 전력수요에 대응해나가겠단 계획입니다.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2038년에는 원전·재생에너지·청정수소 발전 등을 포괄하는 무탄소 에너지 발전 비중이 7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회 문턱을 넘으며 10년만의 신규 원전건설 계획이 담긴 중장기 전력 수급 계획이 어렵사리 확정단계에 이르렀지만, 문제는 시간입니다.
통상 20년씩 걸리는 원전 건설이지만, 정부가 전기본에 제시한 원전 가동 목표 시한은 13년 뒤인 2038년입니다.
주민 수용성이 크게 작용하는 사업인 만큼, 빠른 공론화 작업이 뒤따라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유승훈 / 서울과기대 에너지정책학과 교수> "원전을 짓는 기간을 감안하면 공론화를 해서 지역 주민의 수용성을 확보하고 대형원전 2기가 확실하게 들어올 수 있도록 정부는 입지 선정과 착공을 서둘러야한다…"
차질없는 시행을 위해선 현재 호남과 동해안에 몰려있는 전력을 끌어올 송전망과 사용후 핵연료 저장공간 부족 문제도 해결이 시급하단 지적입니다.
전기본과 함께 상임위 문턱을 넘은 전력망확충법, 고준위방폐장법 등이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정부의 조속한 집행 능력이 긴요해졌다는 주장입니다.
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
#전력 #전기본 #에너지3법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혜준(junel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