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홈플러스가 기습 회생 신청을 한 지 한 달이 다 돼갑니다.
금융권에도 적잖은 파장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사태 해결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오면서 당국의 압박은 갈수록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
강은나래 기자입니다.
[기자]
김병주 MBK 회장은 지난 16일 홈플러스 소상공인 결제 대금 지원 등을 위해 사재 출연을 약속했지만, 구체적인 금액이나 시기에 대해 입을 열지 않고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개인투자자들의 유동화증권 전자단기사채를 상거래채권으로 분류해 전액 변제하겠다면서도, 조기 지급에는 선을 긋고 있습니다.
하지만 법원이 회생 계획을 인가하면 전단채는 거래처 대금보다 변제 순위에서 밀릴 공산이 크고, 채무 조정 시 100% 변제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MBK의 홈플러스 사태 수습 의지에 대한 시장 불신이 커지는 이유입니다.
<황인성/유동화증권 투자자 비대위원장> "물품 구입 자금을 전적으로 전단채로 조달했으면서 정작 지금 와서는 내 알 바 아니다… 회생 개시 전에 전단채가 조기 정상 결제될 수 있도록 (법원이) 선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일부 증권사는 홈플러스·MBK를 사기 혐의로 고소하기로 했습니다.
신용등급 강등 사실을 알고도 숨겨 단기채권 발행을 계속하게 해 투자자 피해를 유발했다는 판단입니다.
당국도 전방위 조사로 MBK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미 국세청 세무조사와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금융감독원 검사 등이 진행 중입니다.
<이복현/금감원장> "제가 보기에는 공수표를 날리시는데 4천억 원금을 빠른 시일 내에 보장할 유동성이 있었으면 회생 신청을 안 했을 것이거든요. 사실상 거짓말에 가까운 것이거든요."
국회 역시 현안질의에 불출석한 김병주 회장에 대한 고발을 검토하고 청문회를 예고했습니다.
홈플러스 사태로 MBK 임원진의 경영 능력이 도마에 오른 와중에 김광일 부회장이 최근 고려아연 이사진에 합류한 점은 또 다른 논란을 낳는 상황.
홈플러스 사태가 기업 회생 문제를 넘어 사모펀드의 경영책임과 투자자 보호의 중요한 시험대가 된 모습입니다.
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
#홈플러스 #MBK #김병주 #김광일 #금감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강은나래(rae@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