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계엄 사태로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됐지만, 군 내부에서는 계엄 관련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국회와 선관위로 출동했던 정보사령부와 특전사령부 등에서 제보자를 색출하거나 탄원서를 강요한다는 논란이 불거진 겁니다.
이승환 기자입니다.
[기자]
12·3 내란사태 직후 청주공항 폭파 등 임무를 부여받은 정보사령부 소속 HID 블랙요원들이 비상계엄 해제 후에도 부대로 복귀하지 않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전현희/더불어민주당 의원 (2024년 12월 24일) : 업무를 배당받은 블랙요원들이 현재 복귀하지 않고 지금 대기 중인 상황이라고 합니다. 당장 업무 중지 명령을 내리고 복귀할 것을 명령하시기 바랍니다.]
[김선호/국방부 장관 직무대행 (2024년 12월 24일) : 예, 지금 관련된 내용 아까 위원장님께서 말씀하셔서 지금 확인 지시를 제가 해 놓은 상태고 그 관련된 내용이 확인되면 하겠습니다.]
이런 의혹은 비상계엄에 반대했던 군 관련 제보자들을 통해 밝혀지고 있었는데 군에서 이 제보자들을 색출하려고 한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해당 제보를 처음 받은 이광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제보자와 다시 연락이 닿은 사실을 공개하면서, 제보자가 군 내에서 "명령을 내려도 실행이 안 되니 다른 실행 조직을 찾고 있고, 제보자를 색출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이광희/더불어민주당 의원 : 군대 내의 내란 세력은 아직 헌정 파괴와 체제 전복의 꿈을 꾸고 있는 듯합니다. 내란 세력들에게 경고합니다. 블랙요원 건드리지 마십시오.]
비상 계엄 당시 국회 봉쇄를 주도한 김현태 전 707특수임무단장과 소통하는 지역대장 등 간부들이 선처를 요구하는 '실명 탄원서'를 모으면서 일부 부대원들이 압박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도 JTBC 보도를 통해 드러난 바 있습니다.
지난 대정부질문에선 군이 고위급 장성 인사를 강행해 알박기를 하려고 시도한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영상취재 김영묵 신승규 / 영상편집 김지훈 / 영상디자인 조승우]
이승환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