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발 관세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첫 한·미 고위급 통상협의가 오는 24일에 개최됩니다. 관세와 방위비를 묶으려는 미국의 의도를 어떻게 저지하느냐가 관건인데 정부는 대규모 범부처 대표단을 꾸려 대응하기로 했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오늘(22일) 미리 미국으로 출국합니다.
이재승 기자입니다.
[기자]
한미 고위급 통상협의는 우리시간으로 24일 저녁 9시에 열립니다.
미국 워싱턴DC에서 양측 재무와 통상장관이 한자리에 앉는 2+2 형식입니다.
우리 측에서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합니다.
미국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가 자리에 앉습니다.
정부는 이번 만남을 협상이 아닌 협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원스톱 쇼핑이라고 표현하며 관세와 방위비를 한 번에 협상하려는 의도를 막겠다는 뜻으로 읽힙니다.
통상과 안보를 분리하는 투트랙 전략입니다.
정부는 미국이 먼저 협의를 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만큼 유리한 측면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덕수/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 정부는 '국익 최우선'의 원칙 하에 미국과 차분하고 진지하게 협의하여 양국이 상호 윈-윈 할 수 있는 방안을…]
하지만 미국은 관세협상은 빠르면 빠를수록 협상조건이 좋다며 압박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일본과의 관세협상때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등장해 방위비 인상을 주도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정부는 조선협력과 LNG 투자를 지렛대로 활용해 미국의 주요 관심 사항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기재부와 산업부는 물론 외교부와 농식품부 등을 포함하는 대규모 범부처 대표단을 꾸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나라에 적용한 25% 상호관세는 물론 미국산 쌀 관세와 소고기 수입개정 등 다양한 안건에 모두 대비하는 겁니다.
이달 들어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목 가운데 반도체를 제외한 9개 품목은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미국발 관세전쟁 여파는 벌써 악영향을 키우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이휘수]
이재승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