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그런데 국정원이 내란에 가담한 혐의로 구속된 육군참모총장의 후임으로 또 '육사 출신'만 인사 검증을 한 걸로 JTBC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게다가 이 시점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전인데, 누가 인사 검증을 지시했는지도 명확하지 않습니다.
유선의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국가정보원이 육군참모총장 후보자로 강신철 현 연합사 부사령관에 대한 인사 검증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내란에 가담한 혐의로 구속된 박안수 전 총장의 후임 자리입니다.
국정원은 또 대장 진급 후보자로 주성운 육군 1군단장과 김성민 육군 5군단장의 인사 검증을 위한 세평을 수집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전부 육사 출신입니다.
인사 검증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기 전에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정원은 규정상 대통령 비서실장이 국정원장에게 요청할 때만 고위 장성 신원조사를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임명권자인 대통령이 없는 상황에서 누가 인사 검증을 요청했는지입니다.
검증 요청을 했냐는 JTBC 질의에 대통령실은 "그런 일 없다"고 했고, 대통령 권한대행을 수행하는 총리실은 "인사에 대해 일반적 절차 이상의 확인은 적절하지 않다"고 했습니다.
지난주 대정부 질문 때는 김선호 국방부 장관 대행이 4~5월 장성급 인사 가능성을 내비쳐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김선호/국방부 장관 직무대행 (지난 14일 / 국회) : 정상적으로 진행된다면 4~5월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인사) 관련된 것은 예하 총장들하고 의견을 모으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은밀히 진행된 육사 엘리트 출신 고위 장성 인사 검증 배경에 윤 전 대통령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추미애/더불어민주당 의원 :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을 기각할 거라고 예상한 것 같아요. 그래서 후속 육군참모총장 인사 검증을 국정원에 시켰던 것 같습니다. 그러면 누가 지시했을까요? 저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뜻이 관철된 것이다.]
인사 검증은 본인의 동의 하에 이뤄지는데 강 부사령관과 주 군단장은 입장을 묻는 JTBC 질의에 답하지 않았고 김 군단장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했습니다.
[영상취재 김영묵 / 영상편집 지윤정 / 영상디자인 허성운]
유선의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