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군대 간 아들이 아프다고 출입증도 없이 군병원에 그냥 들어간 아버지가 있습니다.
이 아버지는 부대 지휘관에게 수차례 직접 연락을 했고, 아들은 퇴원한 뒤에 '1인 생활관'에 머물렀습니다.
심지어 전담 조교를 배정받기도 했습니다.
부대 관계자마저 "매우 이례적인 조치였다"고 말했는데, 알고보니 이 아버지, 국회의원 비서관이라고 합니다.
고병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지난 5일 저녁 9시 반쯤, 국군포천병원 앞에서 승용차를 탄 한 남성이 '출입문을 열라'며 경적을 울려댔습니다.
보안이 중요한 군 시설인만큼 신분증과 연락처를 확인하고 출입증을 발급받으라고 했지만, 이 남성은 "윗선이랑 다 얘기됐다"며 근무자를 윽박질러 그냥 정문을 통과했습니다.
[국군포천병원 위병소 근무자 (음성변조)]
" 원래 신고하고 들어와야 되는데, 이제 신고가 안 되면 들어올 수는 없습니다."
이 남성은 국민의힘 한 재선 의원의 비서관 김 모 씨인데, 아들이 생활관에서 갑자기 쓰러져 입원했다는 말을 듣고 병원으로 찾아온 겁니다.
김 비서관 아들은 퇴원 후에도 이틀동안 18명이 함께 쓰는 생활관이 아닌 '1인 생활관'에 머물렀습니다.
그 기간동안 김 비서관 아들을 전담하라며 조교 한 명을 따로 배정하기도 했습니다.
부대 관계자는 MBC에 "1인 생활관을 사용한 경우는 지난 1년 동안 폭력 사건을 일으켜 분리 조치가 필요한 경우를 빼고는 한 번도 없었다"며 "매우 이례적인 조치"라고 전했습니다.
김 비서관은 지난 3월 아들이 입대하자, 국회에 의정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 나온 육군 협력관을 통해 '아들이 예방접종 후 힘들다'는 등의 이유로 해당 부대 지휘관에게 상태를 확인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아예 부대 지휘관인 대대장의 전화번호를 직접 받고 수차례 연락하기도 했습니다.
김 비서관은 병원으로 찾아간 건 "경황이 없어서"였다고 해명했습니다.
또 상관에게 한 연락도 "아들이 아프다고 해 부모로서 연락했을 뿐"이라며 "어떤 무리한 부탁도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군도 "응급상황에 따른 환자 관리에 해당하는 정상적인 지휘 조치"였을 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MBC뉴스 고병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고병찬 기자(kick@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