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공수처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연루된 채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에 대한 수사를 재개합니다.
12.3 비상 계엄 이후 넉달만인데요.
일단 오늘은 사건의 핵심 인물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불러, 디지털 포렌식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박솔잎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공수처가 오늘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휴대폰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절차를 진행합니다.
작년 8월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임 전 사단장이 참여한 가운데 범죄사실과 관련된 디지털 증거를 선별하는 겁니다.
공수처가 휴대폰을 압수한 건 지난해 1월이지만, 도움을 요청한 경찰청도 비밀번호를 풀지 못해 그동안 수사에 난항을 겪어왔습니다.
[임성근/전 해병대 1사단장 - 박균택/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해 7월 19일)]
"알려 줄 의사는 있는데…그런데 기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공수처는 일단 잠금 해제 없이도 접근 가능한 자료부터 확보하겠다는 계획입니다.
12.3 비상계엄 이후 중단됐던 채상병 순직사건 수사 외압 의혹 수사가 넉 달만에 재개되는 겁니다.
박정훈 대령이 경찰에 수사자료를 이첩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상부의 이첩 보류 지시가 떨어지면서 불거진 의혹은, 그 배경에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가 있었다는 폭로가 나오면서 더 커졌습니다.
이후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공범의 "VIP한테 얘기하겠다"는 녹음파일 내용이 공개되면서 임 전 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으로도 번졌습니다.
하지만 수사는 대통령실 앞에서 멈춘지 오래입니다.
공수처는 '대통령 격노'의 통로로 지목된 이시원, 임기훈 전 비서관을 조사하지도 못했고, 호주대사로 출국 직전 자진출석했던 이종섭 전 장관은 더 이상 부르지 못했습니다.
이 일로 재판을 받은 건 박 대령이 유일합니다.
박 대령은 항명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지만 무죄를 선고받았고, 항소심 재판부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증인으로 불러달라고 신청했습니다.
공수처 관계자는 "박 대령 1심 결과가 나오면서 수사를 안 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계엄 수사와 병행하는 것으로 봐달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공수처가 계엄 수사도 마무리하지 못한 데다 고질적인 인력난을 겪고 있어 빠른 속도로 윗선 수사로 나갈 수 있을지는 불투명해 보입니다.
MBC뉴스 박솔잎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박솔잎 기자(soliping_@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