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미국에서 한국 김이 인기죠.
그런데 관세 부과로 미국에 수출되는 김 값이 많이 올랐다고 합니다.
업계에선 판매 감소를 우려하고 있는데요.
미국이 각국과 벌이고 있는 무역협상엔 크게 진전이 없는 가운데,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결국 손쉬운 상대를 대상으로 협정 체결에 나설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 박윤수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한 식자재 도매업체.
미국에서 인기인 한국 김을 비롯해, 라면과 주류 등 다양한 식료품을 매입해 소매점과 식당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이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매기기 시작한 뒤 매입가가 껑충 뛰었습니다.
[윌리엄 심/미국 LA 도매업체 대표]
"약 10% 정도의 가격이 오른 상태고요. 체감적으로 느끼기에는 그거보다 더 많이 오른 상태로…"
당장 납품 가격을 올리지 않으면 이윤이 줄어드는 상황은 대기업도 다르지 않습니다.
젊은이들이 즐겨 찾는 과일소주를 주로 공급하는 주류 업체는 이익 급감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김경동/롯데칠성 미국법인장]
"전체적으로는 판매가 감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최종적으로는 미국 소비자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10% 기본관세만으로도, 기업들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3개월 유예된 25% 상호관세가 실제 시행된다면 기업들의 상황은 지금보다 훨씬 어려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상황은 한국뿐 아니라 미국에 물건을 팔고 있는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집니다.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지만, 미국은 협상이 잘 돼가고 있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에만 34개 나라와 회담을 한다며, '트럼프식 속도'로 진행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관세 협상은 모든 나라에 공정한 거래가 될 것이며, 꽤 빠르게 진행될 것입니다."
또 중국과도 협의가 잘 되고 있다며, 145%에 달하는 대중 관세가 가까운 미래에 낮아질 거라고 그간의 말을 뒤집었습니다.
미국 언론들은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보다 약한 국가 몇 곳을 상대로 협정을 체결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민감한 세부 사항 협의는 뒤로 미루고, 일단 잠정 합의를 한 뒤 시장의 불안을 잠재우려 한다는 관측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MBC뉴스 박윤수입니다.
영상취재 : 임동규(LA) / 영상편집 : 조민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 임동규(LA) / 영상편집 : 조민서
박윤수 기자(yoon@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