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한중간 해상 경계가 확정되지 않은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중국이 무단 구조물을 설치해 논란입니다.
우리 정부는 이 구조물을 잠정조치수역 밖으로 옮기라고 요구했는데, 중국은 민간 양식시설일 뿐이라며 영유권과 관계없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김세로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중국이 서해에 설치한 대형 구조물입니다.
직경 70m, 높이는 71m가 넘는데 중국은 이걸 바다 양식장이라고 주장합니다.
2018년 1호기에 이어 지난해 2호기를 추가했고, 앞으로 12개까지 늘릴 계획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이 시설 근처에 관리 시설이란 명목으로 해저 바닥에 연결된 고착형 구조물까지 추가했습니다.
구조물이 설치된 곳은 한중 배타적경제수역이 겹치는 곳으로, 어업분쟁 조정을 위해 양국이 절충한 중간 수역입니다.
이 때문에 중국이 서해에서 현상 변경을 시도하는 게 아니냐, 향후 해상 경계 획정 협상을 유리하게 가져가려는 게 아니냐는 우려들이 나옵니다.
우리 정부는 어제 국장급 실무대화에서 중국의 해상구조물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했습니다.
[이재웅/외교부 대변인]
"서해상 중국 측 구조물에 대한 정부의 깊은 우려를 전달하고, 우리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해양 권익이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우리 정부는 중국 측에 세 개의 구조물을 잠정조치수역 바깥으로 이동시킬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은 해당 시설이 민간 양식 시설이라며 영유권과 무관하다고 주장했고, 한국이 원한다면 현장 방문을 주선하겠다고 제안한 걸로 전해집니다.
우리 정부는 이같은 중국 측 제안에 응하는 것이 타당한지 다각도로 검토하는 동시에, 우리 어업 시설 등을 해당 수역에 설치하는 맞대응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다만 오는 11월 경주 APEC에 시진핑 중국 주석 참석이 검토되는 만큼, 양국 모두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대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중국이 국제법 준수를 수십 년간 거부하고 있고, 역내 불안정을 초래하고 있다고 서해 구조물 설치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MBC뉴스 김세로입니다.
영상취재: 송록필 / 영상편집: 이상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송록필 / 영상편집: 이상민
김세로 기자(sero@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