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외곽 싱크탱크로 알려졌던 '성장과 통합'이 일주일 만에 좌초 위기에 놓였습니다. 회원들에게 기부금 납부를 요구했다는 논란에 이어 내부에서 해산을 선언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성장과 통합 측이 해체는 아니란 입장이지만 활동이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장세희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각계 전문가와 전현직 관료 500여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성장과 통합'은 정책 선거를 이끈다는 명분으로 지난 16일 출범했습니다.
유종일 / 성장과 통합 공동상임대표 (지난 16일)
"탄탄하고 정교한 정책과 실행 전략을 준비하는 것이 성장과 통합의 사명입니다."
하지만 공동 대표를 맡고 있는 유종일 교수가 언론 인터뷰에서 "이재명 후보로부터 전략을 만들어달란 전화가 왔다"며 친분을 과시하고, 내부 논의가 이재명 후보 캠프의 공식 정책인 것처럼 알려지면서 문제가 불거졌습니다.
운영 비용 등을 명목으로 소속 위원들에게 10만원~300만원의 기부금 납부를 요청한 사실까지 알려지며 논란은 더 커졌습니다.
내부 갈등도 표면화됐습니다.
34개 분과 중 한 곳인 기획운영위원회가 '해체를 선언한다'는 보도자료를 냈지만, 유종일, 허민 공동대표 측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한 겁니다.
임병식 / 성장과 통합 대변인
"해체를 결정한 건 아니고 조직 재정비를 위한 시간을 갖기로 했습니다."
내부 주도권 갈등이 주된 이유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잇단 내홍에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을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
이재명 후보 측 관계자는 "대선 때마다 반복되는 줄서기 비판이 나오는 게 사실"이라며 "전문가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외곽조직일 뿐, 당이나 후보와 아무 연관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TV조선 장세희입니다.
장세희 기자(say@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