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이 서해에 설치한 구조물에 대해 우리나라와 중국이 만나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눴습니다.
우리 측은 시설물을 이동시킬 것을 요구했지만, 중국 측은 '양식시설'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는데요.
다만, 중국 측은 필요시 현장방문을 주선하겠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김민아 기자입니다.
[기자]
한중 해양협력대화에서 우리 정부는 중국 측이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설치한 구조물에 대해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재웅/외교부 대변인> "서해상 중측 구조물에 대한 정부의 깊은 우려를 전달하고, 우리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해양권익이 침해되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 측에 서해에 설치한 3개 시설물을 잠정조치 수역 밖으로 이동시킬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중국이 철거나 이동을 하지 않으면 비례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습니다.
서해 잠정조치수역은 우리나라와 중국 사이 200해리가 겹치는 수역의 일부를 좌표로 지정해 양국 어선이 자유롭게 조업·항행하는 구역입니다.
이에 중국 측은 해당 시설이 '양식 시설'일 뿐, 영유권이나 해양경계획정 문제와는 무관하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우리 측 철수 요구에도 '민간기업이 자금을 들여 투자한 시설물인만큼 정부 차원에서 이동 명령을 내릴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중국 측은 더 이상 잠정조치수역 내에 추가로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한중 관계와 양국이 올해와 내년, APEC 정상회의를 연이어 개최하는 점 등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중국 측은 또 필요하다면 한국 관계자들의 서해 시설물 현장 조사를 주선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중국 지방정부 관계자가 이 회의에서 구조물에 대한 설명도 했습니다.
<김민아기자> "정부는 추후 중국 측이 양식시설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한중 해양질서 분과위 등을 개최해 중국과 지속적으로 소통해나갈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김민아입니다."
[뉴스리뷰]
#한중관계 #서해_잠정조치수역 #서해_구조물_설치 #한중해양협력대화 #해양권익수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