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한미 간 통상협의가, 우리시간으로 어젯밤 미국 재무부에서 개최됐습니다
◀ 앵커 ▶
네, 상호관세 철폐가 우리 협상팀의 목표였는데 결과가 어땠는지, 워싱턴 연결해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김재용 특파원, 상호관세 말고도 25%나 되는 자동차 관세 면제도 중요한 의제였는데 어떻게 됐습니까?
◀ 기자 ▶
네, 현재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공동 브리핑을 할 예정입니다만,
저희가 미리 물어본 결과, 오늘 협의는 양측의 관심사와 입장을 확인하는 자리였습니다.
우리측은 예고대로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 특히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면제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합니다.
또 반대로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위한 한국의 기여방안 등을 제안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측에선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무역대표부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가 참여했는데, 회의가 70분으로 짧았고, 당초 거론되던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방문도 없었습니다.
오늘 노르웨이 총리와의 회담 등 일정이 많아 어려웠던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2+2 협의 이후, 안 장관은 무역대표부 대표와 별도 논의를 추가로 진행했습니다.
◀ 앵커 ▶
그런데 몇 시간 전에 미국 재무장관이 한 말을 들어보면,"한미간 논의 속도가 빠르다" 이렇게 말했잖아요?
우리 협상팀이 설명한 것과는 좀 결이 다른 것 같은데,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 합니까?
◀ 기자 ▶
네, 오후에 노르웨이 총리와의 환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협상 상황을 설명하라'고 요청하자 한 발언인데, 그 대목 잠시 듣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한미간 협의는 제 생각보다 빨리 움직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기술적 조건'에 대해서 한국과 빠르면 다음 주에 논의해 합의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 앵커 ▶
언뜻 들으면 다음 주에 대략의 합의문이 나올 것처럼 들리는데 어떻게 봐야할까요?
◀ 기자 ▶
베센트 장관의 발언이 나온 직후, 제가 협상팀 실무자들에게 바로 물어봤습니다.
그랬더니 '기술적 조건들'에 대한 논의를 다음 주에 한다는 건, 고위 당국자가 아니고 실무자들이 하는 기본 절차 등에 대한 논의라고 했습니다.
또한 '논의가 빠르다'는 언급 자체도 그건 미국의 판단일 뿐이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습니다.
종합하면 현재 미국 내에서도 관세정책에 대한 우려가 있기 때문에 언론의 질문도 집중되고 있는데, 베센트 장관의 발언은 논의가 순조롭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측면이 강하다고 해석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앵커 ▶
사실 상호관세가핵심 의제긴 했지만, 미국 측에선 방위비 분담금 문제도 논의하겠다고 했고, 우리 협상팀은 그건 협상 의제가 아니라고 했잖아요? 실제 어떻게 진행될지가 관심사였는데, 오늘 협상에선 언급이 됐습니까?
◀ 기자 ▶
막 시작된 브리핑을 끝까지 들어봐야겠습니다만 제가 미리 확인한 바에 따르면 오늘은 논의되지 않았다는게 실무자들의 설명입니다.
앞서 안덕근 장관도 방위비는 별도 문제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를 포괄한 이른바 원스톱 쇼핑을 강하게 압박하는 상황이라 다음번 회의 때는 거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다음 주 한미 간 통합국방협의가 펜타곤에서 별도로 열리는데, 이 회의는 본래 북한의 비핵화와 핵위협에 대응하기위한 정책 공조를 논의하는 자리지만, 이때 쟁점이 될 가능성을 배제하긴 어려워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김재용 기자(jykim@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