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어온 중국의 생성형 AI 딥시크가 실제로 국내 이용자의 정보를 해외로 넘긴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정부는 넘어간 정보를 즉각 파기하라고 권고했습니다.
김윤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딥시크가 국내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해외 업체 4곳에 넘겼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기업 세 곳, 미국 기업 한 곳으로 이 중엔 중국 소셜미디어 '틱톡'의 형제회사인 '볼케이노'도 포함됐습니다.
출시 직후인 1월부터 신규 다운로드를 중단한 2월까지 국내에서 딥시크를 이용한 약 5만 명의 개인 정보가 이전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용자의 기기, 네트워크 정보는 물론 대화창에 입력하는 내용도 넘어갔습니다.
문제는 이용자들에게 미리 알리지 않았다는 겁니다.
[남석/개인정보보호위원회 조사조정국장]
"우리 보호법상에 개인정보의 국외이전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국외이전을 하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로부터 동의를 받거나 처리 방침 등에 공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생성형 AI는 보통 이용자가 채팅창에 입력하는 질문까지 AI 학습에 활용합니다.
이를 이용자가 거부할 수 있게 한 게 '옵트 아웃' 기능인데, 딥시크는 이 기능도 없었습니다.
이에 개보위는 옵트 아웃 기능을 마련하고, 보안이나 서비스 개선 목적 외에 대화창 내용까지 외부 클라우드로 넘기는 것은 불필요하다며 관련 정보를 파기하라고 권고했습니다.
크게 논란이 됐던 '키 입력 패턴' 정보는 딥시크 측이 "실제로 수집하지 않았다"고 개보위에 해명했습니다.
개보위는 해외 기업의 생성형 AI 서비스가 확산하는 만큼 정보보호 상황을 계속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들 서비스는 본사나 클라우드가 모두 해외에 있는 경우가 많아 우리 정부가 시스템을 직접 점검할 수 없는 게 현실입니다.
차선책으로 국내대리인 지정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를 통한 점검 역시 해외 IT 기업들이 선의에 기대야 한다는 한계가 지적됩니다.
MBC뉴스 김윤미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김윤미 기자(yoong@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