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공공의대 설립 공약을 꺼내들면서 찬반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의대증원으로 촉발된 의정갈등이 제대로 봉합되지도 않은 가운데, 불씨가 옮겨붙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요.
의료계와의 접점을 찾는 것이 관건으로 보입니다.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공공의료시스템을 갖춘 공공병원을 확충하겠다"며 공공의대 설립을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
학비와 생활비 등을 전액 지원하되 졸업하면 공공 필수 의료 지역에서 10년간 의무 복무를 하는 게 골자입니다.
2020년 문재인 정부에서도 추진됐던 공공의대는 코로나 상황에서 의사들이 집단행동까지 불사하겠단 입장을 내놓으며 무산된 바 있습니다.
5년이 흐른 지금도 의사들은 부정적입니다.
공공의대 역시 의무 복무 기간이 끝나면 배출인원들이 결국 지역을 떠나고 인기과를 선택할 것이라는 겁니다.
양성 기간도 10년 이상이라 당장 필수·지역 의료 확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내놓고 있습니다.
<김성근 / 대한의사협회 대변인 (지난 24일)> "(공공의료 문제는) 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인 거죠. 공공의대가 마치 답인 것처럼 얘기하는 건 너무 문제를 순진하게 보는거다…"
반면, 간호사 등으로 구성된 보건의료노조는 의대 증원과 더불어 공공의대, 지역 의사제 등은 지역 의료 기반 개선을 위해 필수라고 보고 있습니다.
<정재수 /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기획실장 (지난 21일)> "늘어난 의사들을 정확하게 공공과 지역 필수 의료에 배치하기 위해선 반드시 필요한 정책이라고 보고요."
의대 정원 문제로 1년 넘게 이어지는 의정갈등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들 간의 접점을 먼저 찾아내는 것이 관건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영상편집 김은채]
[그래픽 윤정인]
#공공의대 #이재명 #의정갈등 #공공의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동훈(yigiza@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