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민의힘에서는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이 정강·정책 연설에서 비상계엄 사태에 사죄한 것을 두고 여진이 이어졌습니다.
대선 주자들도 공감의 반응을 보이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거리두기에 나선 것 아니냔 해석이 나옵니다.
이재동 기자입니다.
[기자]
<윤희숙/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장(KBS 정강정책연설 中)> "권력에 줄 서는 정치가 결국 계엄과 같은 처참한 결과를 낳았습니다. 국민의힘은 지금 깊이 뉘우치고 있습니다."
당의 이름을 건 연설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친윤계 의원들을 향해 비판 메시지를 던졌던 윤희숙 원장.
윤 원장의 발언으로 당은 종일 술렁였습니다.
일부 친윤계에서 동의하기 어렵단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지만, 당 지도부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당정관계에 소통이 부족했고 수평적이고 건강한 당정 관계를 구축하지 못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인정하리라고..."
대선 경선 주자들도 공감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탄핵 찬성파인 안철수·한동훈 후보 외에도 계엄 당시 국무위원이던 김문수 후보도 "우리 당이 살아야 한다는 간절한 목소리"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때가 되면 계엄사태와 관련해 사과하겠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김문수/ 국민의힘 경선 후보> "계엄에 대해서 찬성하지 않습니다. 왜 그 수단이 계엄밖에 없었느냐. 적절했느냐 이런 여러가지 문제를 봐야 합니다."
당 안팎에서는 조기대선을 앞두고 당이 윤 전 대통령과 거리두기에 착수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정리 없이는 대선 승리가 쉽지 않다는 포석이 깔려 있다는 겁니다.
다만, 당 지도부 관계자는 "당의 성찰과 진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는 시점이고, 윤 원장의 발언 역시 그중 하나"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
[영상취재 신경섭 김상훈]
[영상편집 박진희]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재동(trigger@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