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관세 문제를 풀기 위해 열린 2+2통상협의에서 한미 양국이 7월 초까지 패키지 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25% 상호관세가 시행되기 전에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데는 일단 공감대를 형성한 건데, 패키지 딜의 내용이나 시기에는 양국 간 온도차가 뚜렷해 얼마나 간극을 줄일수 있느냐가 관건입니다.
먼저 박상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부터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은 한·미 경제·통상 수장들, 1시간여 논의 끝에 관세 유예조치가 끝나는 7월 8일 이전에 관세 폐지와 양국 간 산업협력을 연계한 ‘패키지 합의’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양국은 앞으로 장관급 회담과 실무 회담을 잇따라 갖고 관세와 비관세, 경제안보, 투자협력, 환율정책 등 4개 분야에서 구체적인 논의를 이어갑니다.
관심을 모았던 방위비 문제는 거론되지 않았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美 대통령
"우리는 그 주제(방위비 문제)를 어떤 협상에도 포함시키지 않을 것입니다."
방위비 협상과 관세 협상을 '투 트랙'으로 분리해 협상의 속도를 높이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이번 협상에서도 미국 측은 빠른 합의를 강조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 美재무부장관
"생각보다 빨리 진전돼 빠르면 다음주에 기술적 부분을 논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면 우리 협상단은 합의 시한을 새정부 출범 이후로 제안해 뚜렷한 온도차를 보였습니다.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 압박을 펼쳐온 미국은 중국을 향해 거듭 대화를 촉구하는 등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도 미국 반도체에 부과한 대규모 보복관세를 일부 철회하면서 통상 전쟁의 긴장이 다소 누그러질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TV조선 박상현입니다.
박상현 기자(pshyun@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