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다가오는 29일과 30일엔 대선 사전투표가 진행됩니다. 선관위 여론조사에서 사전투표를 하겠다는 국민은 10명 가운데 4명으로 조사됐는데, 일각에선 여전히 사전투표에 대한 의심과 불신의 시선을 보내고 있습니다.
의혹들을 불식시키기 위해 선관위가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 전정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선거관리위원회가 유권자 15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38.6%가 사전 투표에 참여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지난 20대 대선 사전 조사 때보다 10%p 넘게 늘어난 수치입니다.
하지만 사전투표에 불신을 갖고 있는 유권자도 여전합니다.
이학주 / 경기 의왕시
“(투표 용지를) 여러 장 만들어서 또 넣을 수도 있는 거고 뺄 수도 있는 거고, 그건 믿을 수가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사전투표함에 조작된 투표지를?"
투표가 끝나면 사전 투표함 투입구에 잠금핀을 끼워 봉쇄하고 특수봉인지를 부착합니다.
부착된 봉인지는 떼어내면 표시가 남습니다.
개표함은 24시간 CCTV로 촬영됩니다.
"투표자 수를 실제보다 부풀린다?"
사전 투표자수는 1시간 간격으로 선관위 홈페이지에 실시간으로 공개됩니다.
기존엔 구·시·군 단위에서만 사전투표자 수를 공개했는데, 이번 조기대선부턴 각 투표소별 투표자 수까지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개인정보가 들어있다는 의혹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투표지에 찍힌 QR코드도 바꿨습니다.
김일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관
"문제가 있다고 계속 의혹을 제기하셔서, 저희가 지난 국선 때부터는 1차원 바코드로도 바꾸기도 했었고요"
일각에서 제기하는 분류기 해킹 의혹에 대해서도 유무선 랜카드가 제거된 형태여서 온라인 접속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게 선관위의 설명입니다.
TV조선 전정원입니다.
전정원 기자(garden@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